알트코인 시장, 테마별로 양극화 심화…엔터프라이즈와 메타버스 부문 상승세

[email protected]



최근 알트코인 시장에서 일부 섹터가 회복세를 보이며, 점차적인 양극화 현상이 뚜렷해지고 있다. 8월 6일 17시 8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의 분석에 따르면 전체 24개 섹터 중에서 단 8개만이 상승세를 보였고, 나머지 16개는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전반적인 시장 회복 흐름 속에서도 특정 테마에 대한 선별적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상승률이 가장 두드러진 섹터는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으로, 해당 분야는 +1.4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 부문에서 헤데라(HBAR)가 +1.78%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이며 주목을 받았다. 메타버스 섹터도 +0.26% 상승하며, 디센트럴랜드(MANA, +0.51%)와 샌드박스(SAND, +0.27%)가 이끌었다.

모듈러 블록체인 부문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보인 것은 쑨(SOON)으로, 무려 +6.11%의 상승률을 기록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았다. 또한 폴리곤 에코시스템 토큰(POL)은 +3.34%, 아비트럼(ARB)은 +0.74% 상승세를 이어가며 해당 섹터 상승에 기여하였다. 오라클 분야에서도 피스 네트워크(PYTH, +0.63%), 레드스톤(RED, +0.34%), 체인링크(LINK, +0.13%) 등의 코인들이 미세하게 상승세를 보였다. 밈 섹터에서는 시바이누(SHIB, +1.18%), 캣인어독스월드(MEW, +0.72%), 페페(PEPE, +0.70%)가 상승폭을 키우며 주목을 끌었다.

반면, 하락세를면치 못한 부문도 여럿 있다. 의료 섹터는 –2.97%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제일 큰 하락폭을 나타냈고, 웹랩/메시징(-1.08%), 미디어/스트리밍(-0.84%), 소셜/DAO(-0.77%), 광고(-0.70%) 등도 뒤따랐다. 의료 섹터 내에선 히포프로토콜(HP, -4.42%)과 메디블록(MED, -1.66%)이 특히 큰 하락폭을 보였다.

웹랩/메시징에서는 스테이터스 네트워크 토큰(SNT, -1.83%), 세이프(SAFE, -1.20%), 마스크 네트워크(MASK, -0.40%)가 약세를 보이며, 미디어/스트리밍 분야에서는 무비블록(MBL, -1.92%)과 오디우스(AUDIO, -0.25%)가 하락세를 보였다. 소셜/DAO 섹터에서는 코박토큰(CBK, -3.46%)과 헌트(HUNT, -1.93%)가 하락세를 이어갔으며, 광고 섹터에서도 밀크(MLK, -1.38%)와 베이직 어텐션 토큰(BAT, -0.47%)이 감소하였다.

대형 섹터들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나, 인프라 섹터 내 지갑결제 인프라는 –0.29%로 소폭 하락하였다. 반면, 디파이는 RWA(+0.12%)를 제외하면 대부분이 하락세를 기록했으며, 스마트 계약 플랫폼 섹터는 미미하지만 소폭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번 장세에서는 특정 테마에 대한 선별적인 매수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일부 테마에 중심을 둔 양극화된 시장이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향후 알트코인 시장의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 있어 중요한 지표로 작용할 것이라 예상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