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이 11만 5,800달러(약 1억 6,036만 원) 구간에서 세 번의 지지 테스트를 거친 후, 지난 주말에는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까지 하락하면서 알트코인 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로 인해 최근에 들어서 반등세를 보였던 ‘알트코인 시즌(altseason)’이 중단됐다는 분석이 이어지고 있다.
비트파이넥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이번 비트코인의 하락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라 시장 구조의 변화 가능성을 암시하고 있다. 특히 이더리움(ETH) 등 고위험 자산으로의 자금 이동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투자자들의 투기 성향이 상당히 위축됐다. 현재 시장 전반에서는 레버리지 청산 압박이 커지고 있으며, 가까운 시일 내에 뚜렷한 상승 모멘텀이 나타나지 않을 경우 몇 주간 방향성을 잃은 횡보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2조 2,000억 달러(약 3,058조 원)로, 2021년 강세장의 정점을 크게 초과하고 있는 반면, 이더리움과 기타 알트코인의 합산 시가총액은 과거 최고치를 한 번도 넘지 못했다. 이는 투자자들이 일부 자본을 고위험 자산군으로 돌릴 때에도 여전히 보수적인 태도를 유지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상황에서 이더리움은 최근 고점 대비 약 15% 하락했으며, 대형 알트코인을 제외한 나머지 시장을 추종하는 ‘OTHERS 지수’는 사이클 최고점으로부터 무려 18.7% 하락했다. 지난 11일 동안 이 지수가 반영하는 시가총액은 약 590억 달러(약 82조 1,000억 원) 감소하여, 단시간 내에 투자 심리가 급격히 냉각되었음을 보여준다.
비트파이넥스 분석팀은 “7월 초 비트코인이 좁은 박스권에 갇혀 있었던 동안 OTHERS 지수는 오히려 미결제약정이 빠르게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며, “이번 급락은 알트코인 시장의 과도한 투기 열기가 급속히 식고 있음을 보여주는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한 최근 2주 동안 긍정적인 수익률을 유지한 대형 자산은 단 두 개에 불과하다. 에테나(ENA)는 14.5%, 펏지펭귄(PENGU)은 8.4% 상승했지만, 이들 또한 최고가 대비 하락한 상태이다.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알트코인이 비트코인에 비해 성과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며 ‘알트코인 시즌’의 지속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시장 전문가들은 앞으로 몇 주간 주요 변수가 없는 상황에서 비트코인이 박스권 내에서 거래될 경우, 알트코인 전반의 가격 회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전망하고 있다. 본격적인 상승 반전을 위해서는 장기 지지선이 회복되고 시장을 자극할 외부 요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