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트코인 시장 하락세 지속…의료 및 모듈러 블록체인 섹터 소폭 반등

[email protected]



7월 30일 17시 7분 기준으로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전체 24개 알트코인 섹터 중 오직 2개 섹터만이 소폭 상승하며 나머지 22개 섹터는 하락세를 보였다. 이날, 시장 전반에 강한 하락 압력이 작용하며 다수의 섹터에서 2% 이상의 낙폭이 관측되었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의료 섹터는 0.06% 상승하며 메디블록이 0.63%의 강보합세를 주도하였다. 이처럼 의료 섹터는 소폭이나마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으며, 이는 시장의 부정적인 여건 속에서도 상대적인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상승폭이 있던 모듈러 블록체인 섹터도 0.05%의 상승률을 기록했으며, 이곳에서는 맨틀(+0.94%), 라그랑주(+0.90%), 이더리움(+0.11%) 등 주요 코인들이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한 메타버스 섹터는 2.80% 하락하였다. 이 섹터에서 모카네트워크는 3.79% 하락하며 저조한 성과를 보였고, 샌드박스와 디센트럴랜드 또한 각각 2.91%, 2.63%의 하락폭을 기록하였다. 데이터 인프라 섹터 역시 2.43% 하락하며 포켓네트워크(–7.56%), 카브(–4.77%), 아캄(–3.14%) 등 주요 코인에서 큰 낙폭을 보였다.

이외에도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2.34%), 월렛/메시징(–2.05%), 소셜/DAO(–2.00%) 섹터에서 두드러진 하락세가 눈에 띄었다. 특히, 알트레이어(–6.91%), 사이버(–4.97%), 하이퍼레인(–4.50%)과 같은 일부 종목에서는 급격한 하락이 이어지며 시장의 불안감을 더욱 심화시켰다.

대형 테마군 중 인프라 섹터는 전반적으로 소폭 약세를 보였고, 데이터 인프라 하위 테마는 더 큰 낙폭을 나타내었다. 디파이 섹터 역시 대부분의 종목이 하락세로 돌아선 가운데,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섹터는 보합세 및 하락세가 혼재하여 상대적으로 방어적인 흐름을 유지하고 있었다.

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가운데 상승세를 보인 테마는 오직 의료 및 모듈러 블록체인으로 한정되었다. 상반된 상황 속에서도 대부분의 섹터가 지속적인 하락세를 보였고, 이로 인해 전체 시장 분위기는 확연한 약세 국면을 증명하게 되었다. 상승폭이 제한적인 가운데 다수 섹터에서 2%에서 7%에 이르는 낙폭이 발생한 결과, 암호화폐 시장의 어려움이 명확히 드러났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