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알트코인 시장은 잠시 반등한 이후 뚜렷한 추세 전환 없이 제한적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6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현재 알트코인 시즌 인덱스는 36으로, 이전 달의 26에서 10포인트 상승하며 소폭의 회복세를 보였지만, 전일 및 전주와 동일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최근 90일간 시가총액 상위 100개 알트코인(스테이블코인 제외) 중 비트코인을 초과 수익률을 낸 자산의 비율을 기준으로 산출된 지수이다.
지난달 21일에는 이 인덱스가 55까지 상승해 회복 신호를 보였지만, 이후 조정을 겪으며 박스권에 진입했다. 현재 인덱스는 ‘비트코인 시즌(≤25)’과 ‘알트코인 시즌(≥75)’의 중간 구간에 머물러 있어 향후 방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이날 비트코인은 11만4990달러 선에서 거래되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90일 기준 수익률은 11.32%에 달하며, 이보다 높은 성과를 기록한 알트코인도 다수 존재한다.
가장 두드러진 성장을 보인 자산은 밈코어(M)로, 무려 657.99% 상승했다. 또한, SPX는 164.48%, 펭구(PENGU)는 154.11%, 콘플럭스(CFX)는 151.26%, 에테나(ENA)는 70.95%, 이더리움(ETH)은 66.11%의 성장률을 보이며 뒤를 이었다. 이러한 성장은 알트코인 시장 내 일부 자산의 우세 가능성을 시사하는 변화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비트코인 도미넌스는 이날 기준 60.8%로, 이전 날보다 3.68포인트 하락하였다. 이는 지난달 64.5%와 비교해도 뚜렷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으며, 반면 이더리움 도미넌스는 11.9%(+2.63p), 기타 알트코인 도미넌스는 27.4%(+1.04p)로 각각 상승세를 나타냈다. 전체 알트코인 시가총액은 약 1조5500억 달러, 거래량은 940억 달러로 집계되었다.
바이낸스 선물 시장에서도 이런 흐름이 반영되고 있으며, 알트코인의 비중은 71%에 달한다. 그러나 ETH(–4.5%), XRP(–4.8%)와 같은 주요 종목들은 BTC(–3.2%)보다 더 부진한 모습을 보여 대형 종목이 아닌 틈새 테마의 저시총 알트코인인 MEMEFI(+325%)와 VELVET(+117%)에 수급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이다.
시장 전반의 유동성이 제한적이라는 점은 알트코인 시즌의 지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총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전주 대비 2.8% 감소하여 3.75조 달러로 축소되었고, 알트코인 현물 거래량은 40%, 비트코인은 25% 하락하며 거래 위축이 두드러지고 있다. 스테이블코인 유동성도 파생상품에 몰리면서 시장 전반은 실수요보다는 단기 투기성 거래가 주도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투자자들은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됨에 따라 비트코인을 안전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부 종목의 상승 흐름은 지속되고 있으나 전체 시장의 모멘텀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있다. 알트코인 시장은 현재로서 방향성을 모색 중인 상황으로, 향후 흐름에 대한 관심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