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전 세계 기업 중에서 역사적으로 네 번째로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넘는 쾌거를 이뤘다. 15일(현지시간), 알파벳의 주가는 뉴욕 증시에서 4.30% 상승한 251.76달러로 거래를 마감했으며, 이로 인해 시가총액은 3조400억 달러를 기록하게 되었다. 구글이 3조 달러를 초과한 것은 2004년 상장 이후 21년 만의 일이다.
알파벳은 애플, 마이크로소프트(MS), 엔비디아에 이어 전 세계 기업 중에서 시가총액 3조 달러를 돌파한 네 번째 기업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구글의 주가는 올해 들어 30% 이상 상승했으며, 지난 4월의 저점 대비로는 70%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주가 상승은 주로 미국 법원에서의 반독점 소송 판결과 관련된 영향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미국 법원은 구글이 검색 시장에서 불법 독점적 지위를 갖고 있다고 판결하면서 미국 법무부는 구글이 운영하는 브라우저 크롬의 매각 등을 요구했었다. 하지만 2일 아미트 메흐타 판사는 법무부가 요구한 가장 강력한 제재를 수용하지 않았고, 이는 구글이 크롬 브라우저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이 판결은 구글의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또한, 구글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인 ‘제미나이’에 대한 호평이 이어지고 있으며, AI 산업에서 제미나이의 성능이 오픈AI의 ‘챗GPT’를 초월하고 있는 것이라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최근에는 이미지 생성 AI 도구인 ‘나노 바나나’가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며 어도비가 주도하는 이미지 편집 시장을 침식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아울러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에서도 긍정적인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알파벳의 클라우드 컴퓨팅 부문은 2분기 매출이 전년 대비 약 32% 증가하여 시장의 예상치를 초과 달성했다. 이는 구글이 자체 개발한 칩과 제미나이에 대한 중장기적인 투자가 결실을 맺기 시작했음을 시사한다.
이렇게 다양한 요소들이 결합되며 알파벳의 시장 가치 상승에 긍정적인 작용을 하고 있으며, 향후 알파벳이 어떻게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어나갈지가 주목된다. 오늘의 주가 상승은 결국 혁신을 통해 지속적인 가치를 창출하고 있는 알파벳의 강력한 입지를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