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가 제도권에 빠르게 안착하며 하이브리드 금융 모델로 주목받다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이 불확실성을 넘어 기존 금융 시스템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는 가운데,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불리시(Bullish)의 성공적인 상장은 그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이는 규제를 준수하면서도 확장성을 지닌 하이브리드 모델이 실제 금융 시장에서의 수요에 부합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전통 금융과 블록체인 기업 간의 협력 강화로 인해 디지털 자산 거래는 제도권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 실리콘밸리의 주요 분석 플랫폼인 더큐브(theCUBE)와 뉴욕증권거래소가 공동 주최한 ‘크립토 트레일블레이저스(Crypto Trailblazers)’ 행사에서 이 같은 흐름이 집중 조명되었다. 행사에 참석한 존 퓨리어(John Furrier)와 데이브 벨란테(Dave Vellante)는 이더리움 중심의 레이어1 및 레이어2 네트워크의 급부상, 그리고 규제 명확성을 담은 ‘지니어스법(GENIUS Act)’이 기관 투자자 유입을 촉진하고 주류 채택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서는 전통 금융, 스타트업, 기술 기업의 리더들이 모여 ‘주류 암호화폐 채택’의 가속화를 설명하기 위한 여덟 가지 관점을 공유했다. 체인링크랩스의 공동 창립자 세르게이 나자로프(Sergey Nazarov)는 기관이 신뢰할 수 있는 실시간 검증 가능한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를 채택하는 것이 새로운 금융 질서를 형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탈로스(Talos)는 암호화폐 통합 접근성 확대에 집중하며, 거래소, OTC 데스크, 수탁사 등을 통합한 플랫폼을 구축하고, 코인 메트릭스 인수를 통해 데이터 역량도 크게 강화하고 있다. 또한, 와이지아이랩스(YZi Labs)의 엘라 장(Ella Zhang)과 알렉스 오다가이우(Alex Odagiu)는 블록체인과 AI, 바이오테크를 융합하여 실험적 모델을 실현 가능한 사업으로 발전시키고자 하는 전략을 강조했다.

이더 머신(The Ether Machine)의 앤드루 키스(Andrew Keys)는 기관 생태계에서 이더리움의 스테이킹 전략이 상장지수펀드(ETF)를 초월하는 수익 잠재력을 가진다고 주장했다. 아바랩스(Ava Labs)의 루이지 디메오(Luigi Demeo) 또한 게임, 고객 로열티, 실물자산 토큰화 등 다양한 산업에서 암호화폐 기반의 경제 시스템 구축이 진행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블록체인 기반 AI 기업 오픈레저(OpenLedger)는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보상받는 ‘페이어블 AI’ 모델을 개발 중이다. 이를 통해 AI 모델의 품질 향상과 데이터 제공자의 경제적 참여를 가능하게 할 예정이다. 앵커리지(Anchorage)의 공동 창립자 디오고 모니카(Diogo Monica)는 규제의 명확성이 스테이블코인 채택과 제도권 자금 유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암호화폐 산업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다고 말했다.

하드웨어 지갑으로 유명한 레저(Ledger)도 기업 시장을 겨냥하여 지갑, 결제, 스테이킹, 멀티체인 회계 시스템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알케미(Alchemy)의 니킬 비스와나단(Nikil Viswanathan)은 현 상황을 ‘윈도우95의 순간’으로 비유하며, 개발자와 기업이 탈중앙화 인프라를 기반으로 한 대규모 디지털 금융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기획의 출발점이 마련되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변화들은 단순한 투자 붐을 넘어서 암호화폐의 제도화, 통합화, 그리고 확장성 확보라는 과제를 해결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기술적 진보와 함께 규제 체계의 정비, 글로벌 자본 유입이 맞물리며 암호화폐는 다시 한번 금융 산업의 주류에 도전하도록 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