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급락, ‘사이클 종료’ 아닌 ‘베어 트랩’…상승 여력 여전

[email protected]



최근 암호화폐 시장에서 발생한 급락에 대해 많은 이들이 시장 사이클이 종결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를 표하고 있으나, 다수의 시장 분석가들은 이러한 시각에 반대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들은 이번 하락을 ‘큰 조정’ 또는 ‘베어 트랩’으로 해석하고 있으며, 여전히 상승 가능성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8월 14일 기준으로 시장은 시가총액이 약 7.3% 감소하면서 약 3,400억 달러(약 472조 6,000억 원)가 빠져나갔고, 비트코인(BTC)은 고점 대비 약 7.5% 하락했으며 이더리움(ETH)은 연중 최고점에서 10% 넘게 떨어진 상황이다.

경제학자이자 시장 분석가인 알렉스 크루거(Alex Krüger)는 “고점 이후 약간의 조정만 있어도 시장은 경종을 울린다”며 지나친 비관론에 대한 경계심을 드러냈다. 그는 4년 주기론의 유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며 “2017년이 마지막 사이클이었다”고 주장했다. 2021년의 시장 변화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초긴축으로 틀어잡은 것이 주효했지, 암호화폐 사이클 자체의 자연 종료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크루거는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한 분석을 이어갔으며, 오늘날의 상승장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보았다. 그는 연준이 조만간 통화정책을 비둘기파 성향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지적하며, “다음 반등을 이끌 모멘텀이 아직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참고로, 이번 주 금요일에 예정된 제롬 파월 미 연준 의장의 잭슨홀 미팅에서의 발언은 향후 금리 결정의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번 하락세를 ‘큰 베어 트랩’으로 해석하는 시각이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사실 2017년과 2021년에도 각각 9월에 40%, 25% 가까이 하락한 뒤 몇 개월 이내에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던 사례가 있다. 과거 사이클에서는 상승장이 평균 9개월 지속되며, 조정은 대개 6개월 차에 발생했다는 점에서 현재 상황과 유사하다는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시장 분석가인 크립토콘(CryptoCon)은 비트코인 반감기 주기 이론에 따라 “사이클 정점은 11월 28일 전후 3주 이내에 나타났다”며 현재가 상승장의 중반에 해당한다고 판단했다. 이는 기존 반감기 주기에 기반한 사이클 예측이 여전히 유효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국, 최근의 하락은 암호화폐 사이클의 종료로 보기보다는 전통적인 조정 구간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여전히 시장에는 상승 여력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향후 연준의 정책 전환 여부는 이러한 방향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