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도입 순위에서 미국이 2위…ETF 성장과 규제 정비가 주효

[email protected]



최근 블록체인 분석 기관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은 암호화폐 규제 강화와 ETF(상장지수펀드) 시장 확대를 통해 글로벌 암호화폐 도입 순위에서 2위에 올랐다. 이는 지난해보다 두 계단 상승한 것으로, 1위를 기록한 인도와 함께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번 순위 발표는 체이널리시스의 ‘2025 글로벌 암호화폐 도입 지수(Global Crypto Adoption Index)’를 바탕으로 하였으며, 2024년 7월부터 2025년 6월까지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집계되었다. 이 지수는 각국의 암호화폐 도입 수준을 소매 및 기관 이용자 기준의 거래 규모, 중앙화 및 탈중앙화 서비스 활용도 등 네 가지 주요 지표로 평가하여 순위를 매겼다.

체이널리시스의 수석 경제학자 킴 그라우어(Kim Grauer)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 수용이 가장 빠르게 확산되는 지역은 제도적 인프라를 갖춘 선진국과 금융 대안을 모색하는 신흥국”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암호화폐 도입의 핵심 요소는 실질적인 활용성을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스테이블코인이 해외 송금 및 고인플레이션 국가에서 자산 보호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과, 탈중앙화 앱(DApp)이 지역적 특성에 맞춘 요구를 해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파키스탄은 지난해 대비 여섯 계단 상승해 3위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이어서 베트남과 브라질은 각각 4위 및 5위로 이어졌다. 그러나 나이지리아는 2위에서 6위로 하락하였는데, 이는 해당 국가에서도 일부 규제 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발전이 예상보다 더딘 것으로 해석된다. 이 외에도 인도네시아, 우크라이나, 필리핀, 러시아 등이 상위 10위권에 포함되었다.

이번 순위는 단순한 투자 규모에 그치지 않고 실제로 암호화폐가 어떻게 사용되는지를 다각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스테이블코인, 탈중앙화 서비스, 그리고 제도 수용성이 강조된 이번 보고서는 세계 각국의 정책 방향 및 금융 생태계 변화에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각국의 정책적 차원에서도 이를 고려하여 암호화폐 관련 규제 및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할 시점에 와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