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런 맘다니가 뉴욕 시장 선거에서 승리함에 따라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맘다니는 무소속으로 출마하여 앤드루 쿠오모 전 뉴욕 주지사와 공화당 후보인 커티스 슬리와를 제치고 뉴욕 시장에 당선되었다. 그는 선거 캠페인 내내 뉴욕시의 높은 생활비, 특히 임대료와 보육비 문제를 중심 의제로 내세웠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위 1% 고소득층에 대한 세금 인상을 제안했다.
결과적으로 암호화폐 업계에서는 그의 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가 잇따르고 있다. 예를 들어,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의 공동창업자인 타일러 윙클보스는 맘다니의 대선후보로서의 지지율 상승에 대해 실망감을 드러냈다. 업계 관계자들은 그의 정책이 뉴욕시의 비즈니스 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맘다니는 암호화폐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과거의 공적 태도를 고려할 때 업계의 긴장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쿠오모 전 지사와 이전 시장인 에릭 아담스가 암호화폐 산업에 대해 긍정적인 입장을 보다 분명히 했던 것과는 대조된다. 맘다니는 몇 차례 암호화폐를 언급했지만, 그 내용은 주로 산업 전반보다는 사회적 영향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특히 그는 2023년에 발생한 테라(UST) 사태와 FTX 파산을 언급하며, 뉴욕주 법무부의 소비자 보호 법안을 지원하는 입장을 밝혔다. 그는 “암호화폐 기업이 무너질 때 가장 큰 고통을 받는 것은 저소득층과 유색인종 커뮤니티의 소액 투자자들”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그가 암호화폐 산업의 지속 가능성보다는 사회적 불평등 문제에 더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여실히 드러낸다.
또한, 그는 선거 캠페인 과정에서 쿠오모 전 지사가 암호화폐 거래소 OKX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자문한 사실을 언급하며 이를 비판하기도 했다. 그의 이러한 행보는 암호화폐에 대한 강한 규제를 예고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조런 맘다니의 시장 당선이 뉴욕의 암호화폐 산업에 실질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칠 지는 아직 예측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의 강한 규제 지향적인 과거 태도를 감안할 때, 암호화폐 업계는 앞으로의 동향을 면밀히 관찰할 필요가 있다. 현재 뉴욕시는 암호화폐 정책의 변화와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이는 향후 블록체인 산업과의 협력 관계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