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를 소유하고 있다면 단순한 보안 수준을 넘어 체계적인 상속 계획을 세워야 한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대체불가토큰(NFT) 등의 디지털 자산은 사망 이후 종종 사라지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들의 사적 키(private key)나 시드 문구(seed phrase)를 잃는 순간 회복이 불가능하므로, 적절한 상속 체계를 마련하지 않으면 자산은 유산이 아닌 ‘잃어버린 돈’이 될 위험이 크다.
비트코인 상실 사례는 경고의 롤모델이 되고 있다. 리서치 회사 리버(River)의 보고서에 따르면 약 157만 개의 비트코인이 영원히 접근 불가능한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이는 전체 공급량의 약 7.5%에 해당한다. 원화로 환산하면 약 1,374억 원(비트코인 1개당 97,000,000원 가정)이 된다. 이처럼 작은 실수로 인해 수십억 원대 자산이 유실되는 것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리스크이다.
안전하고 합법적인 암호화폐 상속을 위해서는 체계적인 자산 목록과 접근 권한에 대한 명확한 지침, 신뢰할 수 있는 상속 집행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정보가 공개된 유언장 형태로 남아있다면 보안에 큰 위협이 될 수 있으므로, 암호화된 파일이나 봉인된 문서, 탈중앙화 ID 솔루션 등을 활용해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방법도 고려해야 한다.
또한, 자산 보관 방식을 균형 있게 설정해야 한다. 모든 자산을 중앙화된 거래소에만 보관하거나 QR 코드 공유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은 보안 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커스터디와 자가 보관 솔루션을 현명하게 병행해 사용하는 것이 이상적이다. 특히 암호화폐에 익숙하지 않은 상속인들의 경우, 기술적 허들을 낮춰야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안내와 절차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전통적인 유언장 시스템은 디지털 자산 상속에 적합하지 않다. 다양한 코인, 지갑 구조, 네트워크의 특성을 이해한 상속 시스템이 필요하다. 이는 전통법률만으로는 완전한 해결이 불가능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속인이 암호화폐를 실질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명확하고 실용적인 절차를 남기는 것은 상속자의 의무이자 다음 세대에 대한 배려가 될 것이다.
결국 암호화폐 상속은 기술적 지식과 신뢰 기반의 사전 설계가 결합해야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분야이다. 단 한 번의 부주의로 수십억 원대 자산이 누락되지 않도록, 지금이라도 자신의 암호화폐 상속 마스터플랜을 재점검해야 할 때이다. 암호화폐를 보유하고 있다면 상속 계획을 세울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 디지털 자산을 보호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