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이 하루 만에 약 208조 원, 즉 1500억 달러의 시가총액이 감소하며 급격한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 과정에서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 등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이 동시에 하락하면서 투자자들 사이에서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특히 비트코인은 지난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 발표 후 짧게 상승세를 보이며 11만 8,000달러(약 1억 6,402만 원)까지 치솟았다. 그러나 이 상승세는 지속되지 못하고 차익 실현 매물에 휘말리며 하락세로 전환됐다. 주말 사이 11만 6,000달러(약 1억 6,124만 원)선에서 혼조세를 이어가던 비트코인은 월요일 새벽 갑작스러운 급락으로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까지 밀려났고, 현재는 일부 반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2.6% 하락한 11만 2,700달러(약 1억 5,690만 원) 수준을 기록하고 있다.
이러한 하락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닌 심각한 유동성 압박을 동반하고 있다. 하루 동안 약 2조 3,630억 원(17억 달러)의 청산이 발생하며 시장에 압력을 추가했다. 비트코인의 시가총액은 3,121조 원(2조 2,450억 달러)으로 떨어졌고, 그 시장 점유율은 56.4%까지 올라가 알트코인 대비 상대적으로 강세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알트코인 시장은 더욱 맹렬한 충격을 받았다. 이더리움은 6.4% 하락해 4,200달러(약 583만 원) 아래로 떨어졌으며, XRP는 5.4% 급락하여 2.8달러(약 3,900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솔라나(SOL), 에이다(ADA), 체인링크(LINK), 아발란체(AVAX), 수이(SUI), 헤데라(HBAR), 톤(TON) 등의 주요 코인들도 최대 8%까지 하락했다. 특히 도지코인(DOGE)은 두 자릿수 퍼센트의 하락률을 기록하며 0.24달러(약 334원) 아래로 후퇴했다.
전반적으로 시장의 매도 압력이 강화되면서 코인게코 기준으로 현재 총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4조 달러(약 5,560조 원) 미만으로 감소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의 금리 인하 효과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며, 최근까지의 가격 상승이 과도했음을 시사하며 조정을 불가피하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하락세가 단기적인 투자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업체의 담당자는 “상승 추세가 꺾였다는 명확한 신호는 없지만, 거시경제 불확실성과 맞물려 투자자들이 위험 자산에 재진입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밝혔다.
이번 주 발표 예정인 미국 경제 지표와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발언 등 정치적 불확실성 요소들이 암호화폐에 대한 투자 심리에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도 주목해야 할 대목이다. 암호화폐 시장은 앞으로 어떻게 반응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