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5억 4514만 달러의 레버리지 포지션 청산 발생

[email protected]



최근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서 약 5억 4514만 달러(약 8,000억원)에 달하는 레버리지 포지션이 청산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주로 주요 코인들의 하락세에 따른 대규모 롱 포지션 청산이 원인으로 작용했다.

이번 청산 사건에서 롱 포지션의 비중이 절대적으로 높았으며, 최근 시장의 변동성이 크게 증가하는 가운데 투자자들의 포지션 관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특정 거래소에서 청산이 집중적으로 발생했는데,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에서 총 5882만 달러가 청산되었으며, 이 중 53.94%인 3173만 달러는 롱 포지션이었다. 이 거래소는 특히 숏 포지션의 청산 비율도 46.06%로, 다른 거래소에 비해 비교적 높았다.

두 번째로 많은 청산이 발생한 거래소는 바이낸스였으며, 총 3685만 달러 중 71.43%인 2631만 달러가 롱 포지션이었다. 바이비트에서는 약 2792만 달러가 청산되었으며, 이번 사건 중 가장 높은 롱 청산 비율인 85.38%를 기록했다. OKX에서도 약 1460만 달러가 청산되었고, 롱 포지션 비율은 81.46%였다. 게이트와 HTX에서도 각각 877만 달러와 374만 달러의 청산이 발생했다.

코인별로 보면, 비트코인(BTC)이 청산액의 약 43%를 차지하며 2억 3645만 달러가 청산되었다. 이더리움(ETH)도 여전히 큰 영향을 미쳤으며, 총 1억 6984만 달러가 청산되었다. 세 번째로 많은 청산이 발생한 코인은 솔라나(SOL)로, 7438만 달러가 청산되었다. XRP와 도지코인(DOGE) 또한 각각 1770만 달러, 1712만 달러가 청산된 것으로 보고되었다. 특히 BEL 토큰에서도 1477만 달러의 청산이 발생했다.

이번 대규모 청산은 암호화폐 역사상 가장 큰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고 있으며, 2025년 10월 10일에는 약 191억 6천만 달러의 청산이 이루어졌다. 이는 2021년 4월 18일의 99억 4천만 달러와 2021년 5월 19일의 90억 1천만 달러를 훨씬 초과하는 수치이다. 최근에도 2025년 9월 22일에는 36억 2천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산은 레버리지 포지션을 보유한 트레이더가 증거금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을 때 강제로 포지션이 종료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번 대규모 청산은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이 심화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지표로 해석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더욱 신중한 포지션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