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글로벌 증시가 지정학적 리스크와 미국 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을 고려하면서 불안정한 흐름을 보이는 가운데, 암호화폐 시장에서도 비슷한 혼조세를 보이고 있다. 이 중에서 게임스탑(GME)의 동향과 솔라나(SOL)의 기술적 강세, 이더리움 기반 레이어2 프로젝트 리니아(Linea)의 급락이 시장의 주요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리니아는 9월 10일 기준으로 주요 거래소에 상장된 이후 일주일 만에 가격이 35% 이상 하락하여 0.02265달러(약 31원)까지 떨어졌다. 이러한 급락은 리니아가 기술적 신뢰보다 마케팅에 더 치중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바이낸스와 코인엑스 같은 대형 거래소에 상장된 것과는 반대로, 시장 신뢰를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이며,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자의 경계감이 더욱 강화되었다.
반면,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프로젝트도 있다. 솔라나(SOL)는 유동성 프레임워크와 시가총액 기반의 성장성을 토대로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7일간 가격이 8% 이상 상승한 SOL은 현재 222달러(약 30만 8,580원) 선에서 안정을 찾고 있으며, 24시간 거래량도 94억 달러(약 13조 668억 원)를 넘어서며 시장의 탄탄한 수요를 증명하고 있다.
또 다른 주목할 만한 토큰은 아발란체(AVAX)다. AVAX는 최근 7일 간 약 17% 상승하며 23.93달러에서 29.45달러(약 3만 3,747원~4만 816원) 사이에서 거래되었고, 현재 가격은 28.80달러(약 4만 30원)로 지난 24시간 동안에도 7.3%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술적 지표는 강세장을 예고하며, 일각에서는 차기 목표가를 40달러(약 5만 5,600원)로 전망하고 있다. 이와 함께 아발란체 C-체인에서는 지난달에만 3,580만 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하여 네트워크 활성도도 눈에 띄게 증가했다.
하지만 솔라나 블록체인에 확장된 에이프코인(APE)의 성적은 아쉬운 상황이다. APE는 일주일에서 7.4% 하락해 0.606달러(약 842원)에 거래되었으며, 2022년 고점 대비 거의 98%가 하락한 수치를 기록하며 시장에서의 기대와 실제 반응 간의 괴리를 드러내고 있다.
이번 암호화폐 시장 반등의 원인 중 하나는 의외로 전통 소매업체인 게임스탑(GME)에 있다. GME는 최근 특별 배당금을 지급하고, 2025년 2분기 실적이 예상보다 좋게 나오자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라이언 코언(Ryan Cohen) CEO는 5억 달러(약 6,950억 원)어치의 비트코인(BTC)을 매입하고 이를 인플레이션 해지 수단으로 명시하면서 암호화폐 결제 수단 도입을 공식화했다. 기존의 NFT 및 지갑 관련 사업은 규제 환경으로 인해 중단되었으나, 이번 행보는 현실적인 대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번 사례들은 시장의 흐름이 단순한 토큰 발행이나 마케팅보다는 실질적인 사용성과 기업 전략에 더욱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향후 암호화폐 프로젝트가 신뢰와 수요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기술력 외에도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과 사용자 기반 확대 전략이 핵심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