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테마 랭킹, 의료와 스테이블 코인만 소폭 상승…대다수 테마 하락세

[email protected]



5일 오후 5시 8분 기준으로 암호화폐 시장에서 23개 테마 중에서 의료(+1.86%)와 스테이블 코인(+0.26%) 두 개 분야만이 상승했다. 나머지 대부분의 섹터들은 하락세를 보이며 전체적인 시장 분위기는 냉각되고 있다.

의료 섹터에서는 히포프로토콜이 5.93%로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으며, 스테이블 코인 섹터에서는 유에스디코인(USDC)과 테더(USDT)가 각각 0.28%씩 소폭 상승하며 섹터의 주요 흐름을 이끌었다. 이러한 모습은 알트코인 시장에서 선별적인 매수심리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반면, 하락률이 가장 큰 섹터로는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3.55%), DID(-3.57%), 밈(-3.21%),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3.11%), 데이터 인프라(-3.10%) 등이 꼽혔다. 이 중 하락폭이 3%를 초과한 테마는 다섯 개에 달해 시장의 전반적인 하락세를 보여준다.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 부문은 에테나(-3.79%), 스카이프로토콜(-3.22%) 및 저스트(-1.29%)가 일제히 하락하며 이 부문을 더욱 부진하게 만들었다.

DID 섹터에서는 이더리움네임서비스(ENS)가 3.57%, 스페이스아이디(ID)가 3.52%, 그리고 시빅(CVC)이 2.25%의 하락폭을 기록했다. 특히 밈 섹터는 펭지펭귄이 4.55%, 봉크(BONK)가 4.32%, 브렛이 3.85%의 큰 하락폭을 기록하며 눈길을 끌었다. 엔터프라이즈 블록체인 분야에서도 알트레이어(-3.67%), 헤데라(HBAR)(-3.14%), 스트라티스(-1.96%)가 부진하게 나타났으며 데이터 인프라 테마에서도 더그래프(GRT)(-3.81%), 아캄(AKAM)(-3.62%), 사인(SIGN)(-2.91%)이 상승세에서 이탈했다.

대형 섹터로 분류되는 인프라(-0.44%) 및 디파이,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에서도 하락세가 두드러졌으며, 전반적으로 무거운 분위기가 지속되고 있다. 인프라 부문은 전반적인 하락 흐름 속에서 소폭 하락했으며, 디파이는 종목별로 엇갈린 성과를 보였고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역시 일부 종목이 소폭 상승한 반면 다수 종목은 약세로 돌아섰다.

특히 하락 종목 수가 상승 종목 수를 초과하며, 전체적으로 상승에 성공한 테마는 제한적이다. 의료와 스테이블 코인 섹터 외에는 대부분의 테마가 조정세를 보이며 시장 분위기는 더욱 위축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직까지 뚜렷한 방향성을 찾지 못한 채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는 모습이다. 현재 암호화폐 시장은 하락세 속에서 특정 섹터만이 소폭 반등을 보여주고 있어 향후 시장 전반의 움직임에 대한 긴장감이 감지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