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해킹 피해, 15% 증가…8월 한 달 동안 2,267억 원 유출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 번 보안 문제로 큰 타격을 받았다. 지난 8월 한 달 동안 16개의 다양한 암호화폐 거래소가 해킹을 당해 총 1억 6,300만 달러(약 2,267억 원)의 디지털 자산이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월의 1억 4,200만 달러(약 1,975억 원)에 비해 15% 증가한 수치로, 해커들의 공격이 더욱 빈번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주목할 만한 사건은 한 비트코인(BTC) 개인 지갑에서 발생한 해킹 사건이다. 익명의 소유자는 단 한 번의 공격으로 9,140만 달러(약 1,271억 원)를 도난당했으며, 이는 8월의 보안 사고 중 가장 큰 피해 규모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전체 시장의 지갑 및 인프라 보안 강화의 필요성을 다시 한 번 상기시킨다.

또한, 터키의 주요 거래소 BtcTurk도 큰 피해를 입었다. 이 플랫폼은 지난 1년 간 또 한 번의 대규모 보안 침해를 겪으면서 5,400만 달러(약 750억 원)를 잃었다. 반복되는 보안 허점은 해당 거래소의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혔다.

비트코인 기반의 런치패드 플랫폼인 ODIN•FUN은 가격 조작을 통한 정교한 공격에 의해 700만 달러(약 974억 원)를 손실했다. 더불어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인 BetterBank와 CrediX 파이낸스도 각각 500만 달러(약 695억 원)와 450만 달러(약 625억 원)를 잃으며 해커들의 주요 표적이 되었다. 이러한 여러 사건들은 해킹 기법이 점점 더 정교해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보안 전문 기업 팩실드(PeckShield)는 이번 데이터를 바탕으로 “해킹은 단순한 기술적 취약점만이 아니라, 프로젝트의 구조적 결함과 관리 소홀, 사용자 부주의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분석은 해킹 사건의 방지에 있어 기술적 대응뿐만 아니라 관리적, 사용자 교육적 측면에서도 충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지난 7월에는 인도의 대형 거래소 CoinDCX가 단일 공격으로 4,420만 달러(약 615억 원)를 탈취당한 바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거래소뿐만 아니라 개인 사용자에게도 경각심을 일깨우는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으며, 치솟는 해킹 피해는 암호화폐 산업이 직면한 기술적 난제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보안 수준이 입증된 플랫폼을 우선적으로 선택하고,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보안 수단—예를 들면 멀티시그 지갑이나 하드웨어 월렛—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자산 보호에 대한 인식을 높여야 할 필요성이 크다.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해킹 사례들은 암호화폐 시장의 전반적인 안전성을 저하시킬 위험이 크며, 이로 인해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