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ETP, 3주 연속 자금 유출… 누적 32억 달러 규모로 심각한 상황

[email protected]



암호화폐 투자 상품인 ETP(상장지수상품)에서 최근 3주 연속으로 자금이 이탈하며 누적 순유출 규모가 32억 달러(약 4조 3,200억 원)에 달하는 심각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지난주에는 20억 달러(약 2조 7,000억 원)가 이탈하여, 올해 2월 이후 가장 큰 주간 유출 기록을 경신하며 시장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

영국의 암호화폐 투자사 코인셰어스(CoinShares)에 따르면, 전주시(前週)에는 11억 7,000만 달러(약 1조 5,800억 원)가 유출되었고, 그 해당 규모가 70% 가까이 급증하였다. 이러한 수치는 전 세계 암호화폐 ETP의 운용자산(AUM, Assets Under Management)을 1910억 달러(약 257조 원)로 축소시키며, 지난해 10월에 기록된 2,640억 달러(약 355조 원) 대비 27%나 감소한 수치다.

이처럼 급격한 자금 이탈의 주된 원인은 거시경제적인 불확실성과 대규모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매도 현상으로 분석된다. 코인셰어스의 리서치 책임자인 제임스 버터필(James Butterfill)은 “금리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일부 고래 투자자들의 순차적인 매도는 시장 전반에 부담을 증가시켰다”고 진단했다.

국가별 자금 유출 현황을 살펴보면 미국이 전체 순유출의 97%인 19억 7,000만 달러(약 2조 6,600억 원)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시장이 암호화폐 ETP에서 가장 큰 타격을 받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독일은 1,320만 달러(약 180억 원)의 순유입을 기록하며 전 세계적인 유출 추세에서 벗어난 행보를 보이고 있다.

이 외에도 스위스와 스웨덴에서는 각각 3,990만 달러(약 538억 원)와 2,130만 달러(약 287억 원)의 자금이 유출되었는데, 홍콩, 캐나다, 호주에서는 총 2,390만 달러(약 322억 원)가 빠져나간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최근 암호화폐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기관 중심의 투자상품에서도 차익 실현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상황이다.

결국, 투자 심리 회복을 위해서는 시장의 안정성과 더불어 연준(Fed)의 금리 경로에 대한 명확한 메시지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암호화폐 ETP 시장은 불확실한 환경에 직면해 있으며, 투자자들은 신중한 판단을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키워드: crypto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