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경그룹이 부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로, 핵심 계열사인 애경산업을 매각할 계획을 밝혔다. 이는 AK홀딩스의 총 부채를 줄이기 위한 전략으로, 최근 삼정KPMG를 주관사로 선정하고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돌입한 것으로 전해진다. 매각 대상은 AK홀딩스 및 애경자산관리 그리고 특수관계인이 보유한 애경산업의 경영권 지분 63.38%이다. 현재 애경산업의 시가총액은 약 3,829억원에 달하며, 경영권 프리미엄과 자산 가치를 포함할 경우 매각가는 수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애경산업은 지난해에만 약 6,791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으며, 제품군의 60%를 화장품이 차지하고 나머지 40%는 생활용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브랜드로는 생활용품 브랜드 케라시스 및 화장품 브랜드 루나가 있다. 애경그룹은 이 매각을 통해 부채감소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AK홀딩스의 총 부채는 지난해 말 기준으로 약 4조 원에 이른다. 부채 비율은 2020년 233.9%에서 2024년에는 328.7%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부채 상승은 순수 지주회사인 AK홀딩스가 자회사의 자금 지원에 나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특히, AK홀딩스는 코로나19로 타격을 입은 제주항공에 2,600억원 이상의 지원을 하였고, AK플라자에 대해서도 약 1,600억원을 투자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애경그룹은 재무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비주력 사업인 골프장 중부CC의 매각도 검토하고 있다. 중부CC는 애경그룹 오너 일가가 운영하는 18홀 회원제 골프장으로, 광주 곤지암에 위치하고 있다.
올해로 창립 71주년을 맞는 애경그룹은 현재 재계 서열 62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자산 총액은 약 7조1200억원으로 추정된다. 애경그룹의 주요 사업에는 항공(제주항공), 화학(애경케미칼), 생활용품(애경산업), 유통(AK플라자), 부동산개발(AM플러스자산개발)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나 지난해 말 ‘무안 제주공항 참사’의 여파로 애경그룹의 계열사 주가는 지속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애경그룹 관계자는 “중부CC 매각은 어느 정도 진행되고 있으며 애경산업의 매각은 전반적으로 검토 중인 상태”라고 밝혔으나 이 조치는 재무구조 개선을 위한 필요에 따른 것임을 강조했다. 애경그룹은 애경산업 매각을 통해 차입금 상환 및 유동성 위기 탈출을 꾀하고 있으며, 그룹의 핵심 사업인 제주항공과 AK플라자를 지원하기 위해 필수적인 선택으로 보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