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플의 신제품 아이폰17이 공개되자마자, 예상치 못한 부분에서 암호화폐 커뮤니티의 이목이 쏠렸다. 그 주인공은 바로 리플(XRP) 로고이다. 아이폰17의 카메라 렌즈 배열이 리플의 상징과 유사하다는 이유로 XRP 지지자들이 열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아이폰17은 전반적인 하드웨어 개선과 인공지능 기능을 강화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많은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암호화폐 투자자들의 관심을 끈 부분은 ‘비트코인 오렌지’ 색상의 후면에 배치된 삼각형 형태의 카메라 클러스터이다. 이곳에 세 개의 검은 렌즈가 정돈된 삼각형으로 배열된 모습이 리플의 아이콘을 연상시키며, XRP 커뮤니티는 즉각적으로 비교 이미지를 공유하고 반응을 이어갔다.
애플 측에서 이 디자인이 리플을 겨냥한 오마주인지에 대한 공식적인 입장은 존재하지 않지만, 커뮤니티의 반응은 뜨거웠다. 일부 사용자들은 “XRP 로고가 모든 스마트폰에 깃들고 있다”며 상징성과 우연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와 함께 XRP 시세와 아이폰 가격 간의 관계가 변화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1년 전, XRP의 가격이 0.50달러(약 695원)일 때 기본형 아이폰을 구매하는 데는 약 2,000개 XRP가 필요했다. 프로 맥스 모델 기준으로는 약 2,700개가 필요했다. 하지만 현재 XRP의 가격이 3달러(약 4,170원)에 이르면서, 동일한 기기를 구매하는 데 필요한 XRP의 수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기본형 아이폰은 이제 333개, 프로는 400개, 프로 맥스는 466개 XRP로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처럼 XRP의 가치 상승이 실질적인 구매력 강화로 이어지기도 했다.
더욱이 XRP가 5달러(약 6,950원)에 도달하게 된다면, 기본형 아이폰에 필요한 XRP는 200개로 감소하고, 프로 맥스 모델의 경우도 280개 미만으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0달러(약 1만 3,900원)에 도달하면 한 대의 아이폰을 구매하는 데 140개 XRP면 충분하게 된다. 이는 XRP가 단순한 디지털 자산을 넘어 실물 구매력의 상징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XRP와 애플 간의 의도된 관계는 아닐지라도, 이번 디자인 하나만으로 암호화폐 시장의 상징성이 부각된 사례로 남을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XRP 투자자들은 아이폰 카메라를 더욱 주의 깊게 바라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