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주가, 트럼프의 관세 발표 영향으로 3일간 19% 급락

[email protected]





최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에 대한 54% 관세 부과 발표가 애플 주가에 큰 영향을 미쳤고, 이로 인해 애플의 시가총액이 무려 940조원 이상 증발했다. 애플 주가는 지난 2일부터 4일까지 계속된 하락세로 19% 이상 급락하며, 이는 2000년 초 닷컴버블 붕괴 이후 가장 큰 폭의 하락으로 기록되었다.

특히 두 번째 트럼프의 관세 발표 이후 애플의 주가는 3일 동안 각각 9.25%, 7.29% 하락하는 등 급격한 움직임을 보였다. 7일 기준, 애플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67% 하락한 181.46달러로 마감됐다. 그 결과 시가총액은 6380억 달러(한화 약 940조원)로 줄어들며, 한때 3조8000억 달러에 달했던 시가총액이 이제는 2조7288억 달러로 낮아졌다. 이러한 수치는 애플이 2위 마이크로소프트에 큰 초격차를 두지 못하는 상황으로 이어졌다.

이번 애플 주가 하락의 주요 원인은 중국 의존도가 높은 비즈니스 구조에 있다. 애플의 아이폰 생산과 조립의 90%가 중국에서 이뤄지고 있어, 트럼프의 관세 정책이 애플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우려한 분석이 많다. 웨드부시 증권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 경제는 애플에게 완전한 재앙”이라며 애플만큼 관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 미국 기술기업은 없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로 인해 애플의 목표 주가는 기존 325달러에서 250달러로 하향 조정되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중국에 부과된 관세율을 다른 국가들보다 높은 34%로 설정하며 긴장을 고조시켰다. 이와 함께 중국은 보복 관세를 예고했으며, 이에 대응해 트럼프 대통령은 SNS를 통해 50%의 추가 관세 부과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애플은 다른 아시아의 생산 거점인 베트남과 인도에서도 각각 46%와 26%의 높은 관세에 직면하고 있으며, 이는 애플 제품의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관세 정책에 따라 미국 내 아이폰 가격이 30~40% 상승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UBS는 새로운 관세가 오는 9일 발효되면, 현재 1199달러에 판매되는 아이폰 최고급 모델인 아이폰16 프로 맥스의 가격이 최대 350달러 오를 가능성을 제기했다.

바클레이즈의 팀 롱 애널리스트는 애플이 주기적으로 제품 가격을 인상하지 않으면 기업의 주당순이익(EPS)이 최대 15% 감소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애플의 주가 폭락은 단순한 주식 시장의 변동성을 넘어, 이와 같은 복합적인 원인에 기인한 점에서 앞으로의 애플의 사업 방향과 가격 정책에도 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