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현물 XRP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심사를 지연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자산운용사 앰플리파이 ETF가 새로운 형태의 XRP ETF 상품을 신청해 주목받고 있다. 이 상품은 전통적인 현물 ETF와 달리 XRP를 직접 보유하는 대신, 옵션 전략을 활용해 매월 수익을 창출하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다.
앰플리파이 ETF는 2025년 7월 말 기준으로 약 126억 달러(약 17조 5,140억 원)의 자산을 관리하고 있는 일리노이주 기반의 자산운용사이다. 이번에 제출한 ‘XRP 옵션 인컴 ETF’는 커버드 콜 옵션(covered call option) 전략을 사용하여 수익을 창출한다. 기본적으로, 원자산인 XRP를 일정량 보유하고, 그에 대한 콜 옵션을 매도함으로써 매달 프리미엄을 수취하고 이를 투자자에게 정기적으로 배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자산 가격이 급등하지 않더라도 예측 가능한 배당 수익을 가능하게 하며,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선호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하다고 평가된다.
또한, 이번 ETF 신청은 SEC의 새로운 리더십 하에서 규제 완화의 흐름을 반영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게리 갠슬러(Gary Gensler) 전 위원장이 사임한 이후, SEC는 여러 암호화폐 기업에 대한 소송을 종료하거나 완화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SEC와 리플(Ripple) 간의 소송에서 긍정적인 전환점이 발생한 것 또한 이번 신청에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하지만 SEC가 여전히 XRP에 대한 현물 ETF 승인을 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히 불확실성을 증가시키는 요소다. SEC는 XRP를 기반으로 한 여러 선물형 ETF는 승인했지만, 현물 기반 상품에 대한 결정은 계속해서 미루어왔다. 이러한 상황에서 옵션 인컴 전략을 채택한 이번 ETF가 승인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되고 있다.
예측시장 플랫폼인 폴리마켓(Polymarket)에서는 2025년 안에 미국에서 XRP 현물 ETF 승인이 이루어질 확률이 90%에 근접하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는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SEC의 태도 변화와 리플 재판의 향방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앰플리파이 ETF의 새로운 전략이 실제로 SEC의 승인을 얻을 수 있을지는 아직 미지수다. 그러나 월간 수익을 창출하고 변동성을 낮춘 독특한 구조가 SEC의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낼 수도 있다는 점에서, 향후 XRP ETF 승인 경쟁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