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암호화폐 리서치 플랫폼 코인이지(CoinEasy)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야핑(Yapping)’이라는 새로운 개념이 Web3 생태계에서 커뮤니티 기반 참여를 상징하며 점차 각광받고 있다고 밝혔다. 야핑은 단순한 의견 교환에 그치지 않고, AI 기반 보상 시스템을 통해 커뮤니티 활동의 가치를 정량화하고 이를 토큰 보상으로 연결하는 혁신적인 참여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야핑의 개념은 Kaito 프로젝트에서 처음 등장했다. Kaito는 사용자들이 트위터(X)에서 암호화폐 관련 대화에 참여할 때 ‘야프 포인트(Yap Point)’를 부여하는 AI 활용 Web3 정보 집계 플랫폼이다. 이 포인트들은 공식 리더보드인 ‘Yapper Leaderboard’에 반영되어 향후 에어드랍, 토큰 보상, 커뮤니티 이벤트에서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한다. 코인이지의 조사에 따르면, 첫 번째 Kaito 에어드랍 역시 야핑 점수를 기준으로 배분되었다.
Kaito는 이 모델을 ‘주의력 증명(Proof-of-Attention)’으로 설명하며, AI가 사용자의 트위터 활동을 세 가지 항목—볼륨(활동량), 참여도(리트윗, 좋아요 등), 의미(콘텐츠의 유용성)—로 정량화한다. 단순한 복사-붙여넣기 형태의 텍스트는 제외되고, 실제적인 기여를 한 경우 높은 점수를 부여받는다. 따라서 진정성 있게 커뮤니티에 참여하는 사용자들이 실제로 보상을 받을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된 것이다.
이러한 야핑 기반 참여 시스템은 Kaito 외에도 다른 Web3 프로젝트들에서도 채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아비트럼(Arbitrum)은 월간 상위 야퍼에게 $ARB 토큰을 보상으로 지급하며, Virtuals Protocol은 사용자에게 활동 포인트를 통해 런치패드 참여 권한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1 $VIRTUAL 포인트가 250 $VIRTUAL로 교환되는 사례도 발생하는 등, 이는 단순한 이벤트를 넘어 실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구조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야핑은 이제 단순한 소셜 미디어 활동을 넘어서 Web3 프레임워크 내에서 새로운 평판 메커니즘으로 작용하며, 콘텐츠 참여 도구이자 온체인 신뢰 기준으로 기능하고 있다. 이는 커뮤니티의 유대감을 증진시키고 지속적인 기여를 유도하는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Kaito는 이 시스템을 ‘InfoFi’ 개념으로 규명하며, 정보 공유를 통한 수익화 구조를 기반으로 참여-보상-거버넌스를 연결하는 Web3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다.
코인이지의 분석에 따르면, 야핑은 단순한 댓글 놀이가 아니라 Web3 생태계에서 실질적인 커뮤니케이션 및 경제적 활동의 중심으로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프로젝트들이 이 개념을 채택하며, 사용자 중심의 분산형 거버넌스 개념을 실현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야핑은 이제 암호화폐 대화 참여 방식의 혁신을 시사하며, Web3 시대의 새로운 표현 수단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