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비트와 빗썸, 자체 블록체인 전략 모색할까? 타이거리서치 시나리오 제시

[email protected]



최근 타이거리서치(Tiger Research)는 글로벌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자체 블록체인 구축 경쟁에 본격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 흐름에 업비트(Upbit)와 빗썸(Bithumb)도 참여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이 두 한국 거래소는 독특한 시장 환경과 유동성을 바탕으로 자체 블록체인 인프라를 구축할 경우 어떤 전략이 적합할지에 대한 구체적인 시나리오를 제시했다.

전 세계 주요 거래소들은 블록체인 기반 인프라의 경쟁에 참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단순한 거래 수수료 수익을 넘어서 생태계 기반의 다양한 수익 모델 개발로 이어지고 있다. 코인베이스의 베이스(Base), 크라켄의 잉크(Ink), 로빈후드의 아비트럼 기반 체인과 같은 사례는 이러한 흐름을 잘 보여준다. 이와 함께 탈중앙화 거래소(DEX)의 발전과 함께 개선된 규제 환경과 글로벌 사용자 간의 경쟁이 거래소의 전략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하지만 업비트와 빗썸은 업계에서의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난 2021년 이후 거래량의 축소와 글로벌 CEX 및 DEX에서 이용자 이탈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들 거래소는 해외 지사 설립과 간편 결제 서비스와의 연계를 통해 다양한 사업 다각화를 시도했으나, 여전히 거래소 고유의 경쟁력을 활용한 차별화된 성과를 내기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타이거리서치는 이들 거래소가 자체 체인을 통해 온체인 비즈니스로의 전환을 고려해야 할 시점이라고 판단했다.

보고서에서는 네 가지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다. 첫 번째는 옵티미즘(OP) 스택을 기반으로 한 퍼블릭 레이어2 체인 구축이다. 레이어1 체인은 기술적이고 규제적인 부담이 있어, 기존 단순한 수수료 수익을 넘어선 대안으로 레이어2 방식의 체인 구축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제안된다. 코인베이스의 사례를 보면, 네이티브 토큰 발행이 필요 없는 레이어2 구조가 거래소 실정에 부합하는 방안으로 자리 잡고 있다.

두 번째 전략은 원화(KRW) 스테이블코인을 핵심으로 한 전용 체인 구축이다. 업비트는 네이버페이와 협력하여 원화 기반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직접적인 발행으로 인한 규제 리스크를 피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고 있다. 이 시나리오는 원화 기반의 결제시스템 구축, 낮은 수수료, 프라이버시 보호 기능 등을 통해 현실생활에서 최적화된 체인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 번째 전략은 한국 시장의 유동성 강점을 활용하는 방식이다. 해외 거래소와의 비교에서 원화 거래량이 미국 달러 다음으로 높은 한국 시장은 체인 참여자와 프로젝트에 매력적인 시장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업비트와 빗썸은 거래소 소유 자산을 바탕으로 래핑 토큰(upBTC, bbBTC 등)을 발행하고 이를 온체인 생태계 내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조를 구축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비상장 주식(Pre-IPO) 토큰화 시장에의 진출이라는 시나리오도 있다.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는 ‘증권플러스 비상장’을 통해 해당 분야에서의 경험을 축적하고 있으며, 체인 기반의 주식 토큰화는 유동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최근 네이버의 증권플러스 비상장 지분 인수 추진 또한 이러한 시나리오의 실행 가능성을 암시하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인 제약도 존재한다. 한국에서는 포지티브 규제 방식이 채택되고 있어, 법령에 명시되지 않은 비즈니스 활동은 사실상 도입이 불가능하다. 두 거래소가 대기업으로 지정되면서 규제 부담은 더욱Severity이 가중되고 있다. 기술적 인프라 구축 및 웹3 분야의 리더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