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23일 오전 10시 8분 기준으로, 국내 최대 디지털 자산 거래소 업비트의 공포·탐욕 지수는 전일보다 1포인트 하락한 ‘중립(58)’을 기록했다. 이 지수는 최근 1주일 전의 54와 비교해 소폭 상승했으나, 한 달 전(58) 및 3개월 전(57)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전반적인 낙관론은 여전히 제한적인 것으로 해석된다.
현재 시장은 중립적인 상태에 있으며, ‘공포’ 심리가 우세한 종목은 없지만 ‘탐욕’ 구간에 속하는 종목들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매우 탐욕’ 구간에 속하는 종목으로는 ▲퀀텀(QTUM, 92) ▲아비트럼(ARB, 83) ▲네오(NEO, 80) ▲에이브(AAVE, 80)가 있으며, 이들 종목은 최근 주목받고 있다. 특히 퀀텀은 21포인트 급등하며 시장의 이목을 집중시켰고, 네오 또한 8포인트 상승하여 매수 심리가 더욱 강화됐다.
그러나 탐욕의 심리가 약화되는 모습도 관찰된다. 체인링크(LINK)의 경우 현재 77포인트로 탐욕 구간에 속하고 있지만 전일 대비 5포인트 하락하며 어느 정도 열기가 진정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는 잠재적인 조정이 필요하다는 신호로 해석될 수 있다.
투자 시장에서는 프리미엄 차이 또한 눈에 띈다. 업비트 프리미엄은 글로벌 평균 대비 1.55%를 기록하며 여전히 매수 우위로 해석된다. 하지만 일부 종목에서는 100%에 이르는 극단적인 프리미엄이 나타났다. 프리미엄이 가장 높은 종목으로는 ▲옵저버(OBSR/BTC)와 ▲랠리(RLY/BTC)가 있으며, 이들 종목은 글로벌 유통량이 제한적이거나 업비트 내 수요가 집중된 결과로 분석된다. 또 ▲밸런스(EPT/USDT, 26.54%) ▲루미웨이브(LWA/BTC, 8.33%) ▲재스미코인(JASMY/BTC, 7.14%) 등의 종목도 과도한 프리미엄을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과열되고 있는 모습으로 해석된다.
반면 일부 자산은 글로벌 대비 낮은 가격에 거래되며 ‘역프리미엄’ 상태에 놓였다. 역프리미엄이 가장 큰 종목으로는 ▲엔케이엔(NKN/BTC, –3.85%) ▲게임빌드(GAME2/KRW, –2.94%) ▲아이오넷(IO/BTC, –2.65%) ▲프롬(PROM/BTC, –2.26%) ▲헌트(HUNT/KRW, –2.06%)가 확인됐다. 이들 종목은 매수세의 약화 또는 시장의 외면으로 인해 투자 매력도가 낮아진 것으로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전반적인 시장은 탐색 국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일부 종목에서는 과열 해석이 가능하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신중한 접근이 요구되며, 각 종목의 심리 지수와 프리미엄 추이를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