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릭 트럼프가 한국의 가상자산 산업을 아시아에서 가장 앞선 국가로 평가하며, 트럼프 가문의 금융 관심이 디지털자산으로 옮겨진 배경을 설명했다. 그는 정치적 압력으로 인해 기존 금융 시스템에 대한 회의감을 느꼈고, 이를 계기로 가상자산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고 밝혔다.
에릭 트럼프는 2025년 9월 9일 서울 강남구에서 열린 ‘업비트 디 콘퍼런스’에서 한국의 디지털자산 분야가 아시아에서 가장 뛰어난 성과를 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이 현재 디지털자산 산업을 선도하고 있지만, 한국도 아시아의 중심지로 발전할 잠재력이 크다고 평가했다. 그는 디지털자산 시장에 대한 가족의 관심을 정치적 제약의 경험으로 설명하며, 대통령 선거에서의 패배 이후 세계 여러 은행이 정치적 이유로 트럼프 일가의 금융 거래를 제한하려 했다고 언급했다. 이러한 경험은 기존 금융 시스템의 문제점을 실감하게 했고, 결과적으로 디지털자산을 대체 수단으로 탐색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그는 현재 디지털자산을 ‘금융 자유를 실현할 수단’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비트코인이 미래 세대의 주요 자산이 될 것이라고 예측하며, 이를 통해 수십억 명에게 기존 금융 시스템에서 누리지 못했던 자유를 제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존 은행 시스템이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지 못할 경우, 혁신 기업들에게 밀려날 것이라는 경고도 덧붙였다. 특히 유럽은 전력 효율성과 같은 문제로 인해 디지털자산이나 인공지능 산업에서 미국에 뒤처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날 행사에서는 두나무의 오경석 대표도 가상자산 산업에 대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 대표는 한국의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인 업비트가 외국과의 조건 차이로 경쟁력이 제약받고 있다고 설명하며, 규제 개선을 통해 국내 시장이 글로벌로 확장될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와 같은 흐름은 향후 한국의 디지털자산 관련 규제 환경과 기술 기업 유치 전략에 크게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가상자산 산업이 금융의 대안으로 부각되면서, 정치 및 경제의 변곡점에서 디지털 자산이 어떤 역할을 할지 주목될 필요가 있다. 에릭 트럼프의 발언은 디지털자산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과 함께 기존 금융 시스템의 한계를 지적하는 중요한 신호로 포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