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스지이, 정부 온실가스 감축 목표 상향에 따른 대기오염 저감장치 사업 확대

[email protected]



친환경 인프라 전문기업 에스지이(SG)는 정부가 발표한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상향에 따라 대기오염 저감장치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에스지이는 대기오염 방지 설비인 ‘SGR+’와 저탄소 건설소재인 ‘에코스틸 아스콘’을 중심으로 친환경 인프라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는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2035년까지의 NDC 목표를 상향 확정하였다. 이전 2030년 기준의 단일 감축률 40%에서 상하한을 각각 53%에서 61%로 조정하였으며, 이로 인해 산업 및 건설 분야에서 대기오염 저감설비와 저탄소 공정으로의 전환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전망된다.

에스지이는 특히 아스콘 산업에서의 친환경 설치 의무화에 대응하기 위해 SGR+를 개발하였다. SGR+는 아스콘 생산 과정에서 발생하는 벤젠, 포름알데히드, 벤조피렌과 같은 1급 발암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설비는 환경부에서 성능 인증을 획득하여 현재 약 40개 아스콘 플랜트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년까지 추가 설치를 목표로 공공 인프라 조달시장 진입과 ESG 인증 제품 등록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에스지이는 기계적 기포 기반의 중온 아스팔트(WMA) 제강슬래그 혼합 공법을 이용한 온실가스 감축 사업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약 52%의 온실가스 감축률을 달성했다. 특히 업계 최초로 대항상공회의소의 탄소감축 인증표준(KCS) 인증도 이미 취득하였다.

에스지이의 ‘에코스틸 아스콘’은 제철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산물인 제강슬래그를 활용하여 자연골재 채취로 인한 환경 훼손을 최소화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감소시키는 저탄소 건설소재로, 높은 강도와 내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도로의 파손률과 주행 소음 또한 감소시키며, 미세먼지 발생을 억제하여 도로의 수명과 주행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에스지이 관계자는 “정부의 NDC 상향은 산업계의 저탄소 전환을 유도하는 중요한 정책적 전환점”이라며, “SGR+, 에코스틸 아스콘, KCS 인증 기반의 감축사업을 통해 ESG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하였다.

더불어, 에스지이는 인도와 우크라이나 등 해외 인프라 프로젝트에도 SGR+ 수출형 모델을 적용하며,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K-탄소저감 인프라’를 수출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이는 국내 경제와 환경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