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회사 에스티큐브(052020)가 주가가 3.59% 상승하며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에스티큐브는 미국에 본사를 둔 STCube Pharmaceuticals, Inc와 협력해 항암면역치료제와 면역관문억제제 등 혁신적인 바이오 신약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이 회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면역관문억제제 ‘Nelmastobart'(hSTC810)는 현재 글로벌 임상시험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신약 개발 노력은 회사의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으며, 최근 비소세포폐암 임상 2상 시험 계획에 기반하여 주가가 급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에스티큐브의 최대주주는 에스티큐브앤컴퍼니로, 회사의 주식 8.02%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 5월 8일, 이전 회사명인 ‘에스켐’에서 에스티큐브로 상호 변경한 이후 활성화된 바이오 사업 부문은 이제 회사의 주요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다.
최근 5일간의 주식 거래 동향을 살펴보면, 9월 17일에는 8,070원으로 마감하였고, 주가는 -2.54% 하락했다. 반면, 9월 16일에는 8,280원으로 2.86% 상승했으며, 개인 투자자의 매수세가 증가함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는 매도세를 보였다. 이는 바이오 및 제약 관련 기업에 대한 기대감과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맞물려 주가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주식 거래에서 공매도 역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9월 17일 공매도 거래량이 1,034주로 나타났으며, 이는 전체 거래량의 0.85%에 해당한다. 최근 며칠간 공매도 비중은 다소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 간 우려가 있음을 나타낸다.
에스티큐브와 관련된 이슈로는 2025년 9월 10일에 발표된 미국의 금리 인하 기대감, 정부의 정책 지원 등이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리고 특히 비소세포폐암에 대한 임상 2상 연구계획의 신청은 주가 상승에 주요한 기여 요인으로 작용했다.
앞으로의 일정에서도 기대할 만한 이벤트들이 많다. 2025년 9월 19일 에스투더블유의 신규 상장과 함께, 10월 17일에는 유럽종양학회(ESMO)가 개최된다. 이러한 국제적인 학회는 면역항암제의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되며, 에스티큐브와 같은 기업들에게는 중요한 기회가 될 수 있다.
에스티큐브의 성장성과 향후 임상시험 결과에 대한 기대감은 앞으로도 주식시장 내에서 많은 관심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산업의 발전과 함께, 이 회사의 미래가 어떻게 전개될지 지속적으로 지켜보아야 할 시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