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다(ADA)의 암호화폐 시가총액 10위 자리가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있다. 이러한 위협의 주요 원인은 최근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는 하이퍼리퀴드(Hyperliquid) 때문이다. 현재 에이다의 시가총액은 약 304억 4,000만 달러(한화 약 42조 9,116억 원)로 유지되고 있지만, 하이퍼리퀴드는 올 한 해 동안 256%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하여 시가총액이 약 168억 8,000만 달러(한화 약 23조 4,672억 원)까지 도달하며 빠른 추격을 벌이고 있다.
탈중앙화 거래량의 차이는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 디파이 데이터 플랫폼인 디파이라마에 따르면, 하이퍼리퀴드의 일일 DEX 거래량은 약 3억 6,100만 달러(한화 약 5,017억 원)에 이르는 반면, 에이다의 거래량은 고작 289만 달러(한화 약 40억 원)에 불과하다. 이는 에이다가 비록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잃고 있음을 암시한다.
가장 심각한 결핍은 ‘스테이블코인’과 관련이 있다. 에이다는 아직까지 의미 있는 스테이블코인 생태계를 구축하지 못했지만, 하이퍼리퀴드는 팍소스와 협력하여 USDH의 출시를 준비 중이다. 팍소스는 과거 대규모 BUSD 발행을 맡았던 회사로, 하이퍼리퀴드는 이미 써클이 제공하는 55억 달러(한화 약 7조 6,450억 원)의 스테이블 유동성을 흡수하고 있다. 이 자체 스테이블코인이 출시될 경우 연간 최대 10억 달러(한화 약 1조 3,900억 원) 규모의 자산 환매가 가능하다는 예측도 나오고 있다.
가격 동향 또한 이러한 격차를 명확히 보여준다. 올해 들어 하이퍼리퀴드는 254.9% 상승한 반면, 에이다는 29.7% 하락했다. 이는 시장 내 유동성과 채택이 어떻게 양분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분명한 지표다.
에이다의 창립자인 찰스 호스킨슨(Charles Hoskinson)은 장기적인 관점을 강조하고 있으나, 생태계 내 실질적 성장은 느리기만 하다. 현재 세 개의 주요 조직이 에이다 생태계를 지배하고 있으며, 글로벌 커뮤니티는 워크숍과 논의에 집중하고 있지만 실제 성과는 미미하다. 장기 전략이 실행력 없이 진행된다면 이는 분명 위협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런 구조적 한계는 에이다가 시가총액 순위에서 강력한 성장을 위한 기반보다는 과거의 관성에 의존하고 있다는 시장의 냉정한 평가로 이어진다. 10위권 생존이 아닌 도태의 경계에 서 있는 현실은 결코 과장이 아니다. 에이다는 하이퍼리퀴드 같은 새로운 경쟁자들로 인해 그 지위를 지키기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으며, 이는 향후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