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에서 에테나(ENA) 토큰이 최근 한 달간 무려 160% 급등하며 큰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급등의 주요 요인은 업비트에서의 상장, 프로토콜 사용량의 증가, 그리고 고래 투자자들의 대규모 매수로 분석된다. 하지만 단기적으로는 대규모 물량 해제 일정이 가격 상승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도 있다.
현재 에테나의 가격은 약 0.67달러(약 930원)로, 시가총액 측면에서는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여전히 연초 고점이었던 1달러(약 1,390원)를 하회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에서는 급등의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추가 상승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첫 번째 주요 요인은 국내 대표 거래소인 업비트의 ENA 상장이다. 업비트는 최근 ENA/원화, ENA/비트코인(BTC), ENA/테더(USDT) 거래쌍을 지원하며, 국내 투자자들의 유입을 용이하게 했다. 이전에는 글로벌 거래소인 바이낸스, 크라켄, 쿠코인, 바이비트 등에서만 ENA를 거래할 수 있었지만, 업비트의 상장으로 한국 내 거래소의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두 번째로는 에테나 프로토콜이 제공하는 합성 스테이블코인 USDe의 급속한 성장이다. USDe는 미국 달러와 연동되며, 현금 자산 대신 델타 중립 헤징 전략을 통해 페그를 유지한다. 7월 초에는 시가총액이 약 53억 달러(약 7조 3,670억 원)에 불과했지만, 현재 그 규모는 84억 달러(약 11조 6,760억 원)로 급등하여 프로토콜의 신뢰도를 높였다.
세 번째 요인은 고래 투자자들에 의한 적극적인 매수세다. 온체인 분석가인 알리 마르티네즈에 따르면, 최근 1주일간 약 8천만 ENA가 고래 지갑으로 이동하였으며, 이 규모는 약 5,300만 달러(약 737억 원)에 해당한다. 대형 자금의 유입은 가격 하방에 대한 지지를 제공하며, 이는 후속 소규모 투자자들의 진입을 유도하는 효과를 가져온다고 분석된다.
하지만 단기 조정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향후 7일 내에 1억 4,000만 개 이상의 ENA가 시장에 새로 유입될 예정이다. 이로 인해 추가 공급이 수요를 초과할 경우, 가격 조정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경고가 제기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여전히 에테나의 상승 잠재력을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특히 분석가 맥케나는 “디파이 시장에서 가장 매력적인 차트를 보유한 자산”이라고 ENA를 평가하며, 내년 초에 다시 1달러를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반면 다른 전문가인 리티카는 에테리움(ETH)이 4,000달러(약 556만 원)를 돌파할 경우 ENA도 강세를 나타낼 것이지만, 현 시점에서는 신규 진입보다 하락 시 저점 매수를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조언했다.
결국 에테나(ENA)가 상승 동력을 유지할지, 아니면 공급 확대에 의한 조정 현상이 나타날지는 향후 일주일간의 토큰 유통량 변화와 시장 반응에 따라 결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암호화폐 시장에서의 에테나의 존재감과 미래의 변동성을 더욱 주목받게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