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월, 한국의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 시장에서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은 미국의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였다. 이는 여러 부정적인 요인에도 불구하고 인공지능(AI) 기술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감이 강한 영향을 미쳤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카카오페이증권이 9월 10일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8월 동안 해당 플랫폼을 통해 해외 주식을 거래한 개인 투자자들의 평균 수익률은 6.5%로, 7월의 7.8% 대비 다소 감소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엔비디아는 미국 주식 중에서 가장 많이 매수된 종목으로, 데이터센터 매출 둔화와 중국 시장에 대한 불확실성 같은 악재에도 불구하고 AI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여겨지며 지속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디지털 자산 시장의 회복세도 투자 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더리움의 가격 상승이 계속되면서, 2배 레버리지 상품인 ETHU와 이더리움을 다량 보유한 비트마인 이머전 테크놀로지스와 같은 관련 종목들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매수 순위 상위권에 올랐다. 이는 암호화폐 시장의 랠리가 전통적인 주식 투자에도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주고 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흥미롭게도, 고수익을 올린 해외 투자자 상위 10%의 수익률도 전월 대비 약간 감소했다. 7월 평균 수익률이 53.1%였던 것이 8월에는 47.5%로 떨어졌다. 이들이 선호한 종목으로는 템퍼스 AI(34%), 테슬라(8%), 아이온큐(7%) 등이 있었고, 또한 단기 채권 ETF인 SGOV와 같은 보수적인 자산에도 일부 투자하여 리스크 관리를 고려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내 주식 시장에서는 전반적인 수익률이 더 부진한 상황이다. 국내 종목 평균 수익률은 3.3%로, 전월의 4.8%에 비해 하락했다. 미국의 대중국 반도체 수출 규제 여파로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 등 주요 기업이 약세를 보였고, 주요 매수 종목이었던 두산에너빌리티와 대한조선,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도 비슷한 흐름을 따랐다. 조선 및 방산 관련주는 정상회담 이후 수요 증가가 있긴 했으나, 단기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지속적으로 부담으로 작용했다.
카카오페이증권은 “8월의 투자 시장에서는 이더리움의 강세, AI 산업에 대한 낙관론, 정부 정책의 혜택 기대 등 다양한 요소들이 동시에 영향을 주었다”며, “특히 고수익 투자자들은 고성장 주식과 현금성 자산에 고르게 투자하여 시장 변동성에 대비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투자 흐름은 인공지능, 암호화폐, 정부 정책과 같은 고변동성 자산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높은 관심을 잘 보여준다. 향후 기술주 중심의 랠리가 지속된다면, 투자자들은 특정 테마에 대한 순환매에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시장 전반의 유동성과 리스크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