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기술 생태계의 중추 역할을 하며 29일(현지시간)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5조 달러(약 7100조 원)를 넘어섰다. 이날 뉴욕 증시에서 엔비디아의 주가는 전일 대비 2.99% 상승한 207.04달러에 마감됐다. 이를 통해 엔비디아는 종가 기준으로 약 5조311억 달러의 시가총액을 기록, 역사상 처음으로 5조 달러의 기업 가치를 달성한 기업이 되었다.
이 회사는 지난 7월 10일에 시가총액 4조 달러를 돌파한 지 불과 3개월여 만에 또 다시 5조 달러라는 이정표를 세우는 놀라운 성과를 이뤘다. 이 시가총액은 세계 3위 경제 대국인 독일의 명목 국내총생산(GDP)인 약 5조100억 달러를 초과하는 규모로, 국제통화기금(IMF)은 올해 독일의 GDP를 그렇게 예상하고 있다.
엔비디아는 전날 워싱턴DC에서 열린 개발자 행사(GTC)에서 AI 관련 대규모 투자 계획과 비즈니스 전망을 공유했다. 젠슨 황 CEO는 엔비디아의 주력 AI 칩인 블랙웰 프로세서와 새롭게 출시될 루빈 모델이 내년까지 매출에서 전례 없는 성장을 이끌 것이라고 예측하면서, “AI 거품”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기술 및 투자 생태계에서 엔비디아가 차지하는 비중과 그 미래 가능성을 강조했다.
또한, 엔비디아는 우버, 팔란티어, 크라우드 스트라이크와 같은 여러 기술기업들과의 협업 계획도 발표하며 AI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이러한 파트너십 체결은 엔비디아의 주가 랠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블룸버그 통신은 엔비디아가 곧 삼성전자, 현대차그룹 등과 칩 공급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아 투자자들의 기대를 높였다.
한편, 미국 언론의 보도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곧 있을 미중 정상회담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 관련 논의를 할 예정이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 성능을 낮춘 버전을 중국에 수출하는 것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기대를 높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이 작용하면서 엔비디아는 이날 S&P 500지수 내 비중이 약 9%에 달하게 되었고, 이는 매우 인상적인 수치다. 블룸버그에 의하면, 엔비디아의 기업 가치는 전 세계 증시 중에서 미국, 중국, 일본, 홍콩, 인도를 제외한 어느 증시와 비교해도 그 전체 시가총액 규모보다 크다. 이는 엔비디아의 성장 동력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AI 시장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