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제롬 파월 의장이 금리에 대한 명확한 지침을 제시하지 않으면서 글로벌 금융시장과 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한번 불확실성의 국면에 접어들었다. 파월 의장은 경기 둔화 우려와 동시에 인플레이션 재상승 가능성을 지적하며 신중한 자세를 유지했다. 이날 로드아일랜드주 상공회의소 행사에서 그는 올해 상반기 미국의 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1.5%로 둔화되었다고 설명하며, 여전히 낮은 수준인 4.3%의 실업률과 함께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가 2.9%로 연준의 목표치인 2%를 초과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현 시점에서 정책은 신규 사이클에 들어선 것이 아니다,”라며 “지표에 따라 조정하겠다”는 모호한 언급이 투자가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특히 그가 “현재 정책은 다소 긴축적이며 인플레이션 위험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발언은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을 저하시켰다. 그러나 CME 페드워치 툴에 따르면, 오는 10월 회의에서 0.25%p 금리 인하 가능성은 여전히 92% 이상으로 높게 평가되고 있다. 이렇게 복잡한 상황 속에서 암호화폐 투자자들은 금리 인하가 비트코인(BTC)과 같은 무수익 자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다. 하지만 인플레이션의 불씨가 여전할 경우 정책 변화가 지연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파월 의장은 “과도하게 성급하게 완화적 기조로 전환한다면 인플레이션 억제가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은 어느 정도 안정을 찾아가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이번 주 초 시가총액에서 약 2,790억 달러(약 387조 원)가 증발했던 암호화폐 총 시가총액은 현재 3조 9,600억 달러(약 5,504조 원) 수준으로 회복 중이다. 비트코인은 한때 11만 1,600달러(약 1억 5,512만 원)까지 하락했으나, 하루 만에 11만 2,000달러(약 1억 5,568만 원) 지지선을 회복했다. 이더리움(ETH)은 4,200달러(약 583만 원) 이하에서 여전히 반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전통 금융권에서도 보다 긍정적인 시각이 나타나고 있다. 펀드스트랫에셋매니지먼트의 톰 리는 “연준이 과거 자산 가격을 타겟으로 삼지 않았던 시절과 비교하면, 현재의 발언을 부정적으로 해석할 필요는 없다”라고 밝혔으며, 지나친 시장 반응에 대한 경계를 나타냈다. 이는 연준의 명확하지 않은 신호가 암호화폐 시장에 단기적 불확실성을 재확인시킨 셈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금리 인하의 방향성에 변화가 없다는 점이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급격한 정책 반전 가능성보다는 점진적인 완화에 더욱 주목해야 할 시점이다. 지금 시장은 연준의 통화정책 속도 조절을 주시하며, 위험 회피와 기회 포착 사이에서 균형점을 찾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