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인하를 앞두고 비트코인 반등 가능성 증가

[email protected]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시그널이 암호화폐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 제롬 파월 의장은 실업률 증가와 관련된 우려로 통화정책 조정의 필요성을 밝혔으며, 이는 사실상 긴축 중단을 암시하는 발언으로 해석되고 있다. 따라서 투자자들은 이러한 변화가 비트코인(BTC)을 포함한 암호화폐 자산군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파월 의장은 14일 열린 통화정책 회의에서 “고용 측면의 하방 위험이 커짐에 따라 통화정책에 대한 시각을 조정해야 했다”고 언급하며, 지난 9월 회의에서 중립적 스탠스로의 추가 전환을 단행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발언은 향후 금리 인하 가능성을 강하게 시사하며, 시장에서는 오는 10월 29일에 예정된 FOMC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가 0.25%포인트 인하될 확률을 95.7%로 평가하고 있다. 더불어 12월에도 추가 인하 가능성이 94.8%에 달해, 연말까지 총 0.5%포인트 하락이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정책 변화는 비트코인에 분명한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JP모건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마이클 페롤리는 “이번 발언은 금리 인하의 강력한 확신을 제공하는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비트코인 인플루언서 조 콘소르티는 “비트코인은 지난 5월 이후 둔화세를 보였으나, QT 종료와 기준금리의 3% 미만 하락이 상승을 뒷받침할 수 있는 충분한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편, 연준은 보유 자산 규모를 9조 달러에서 6조 5,000억 달러까지 축소한 것으로 평가되며, 이는 QT의 막바지에 도달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암호화폐 트레이더 아서 헤이즈는 “QT는 끝났으며, 이제는 매수를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강력한 매수세를 예고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호화폐 시장은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최근 대규모 청산 사태 이후 시장은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비트코인 가격은 아시아 시장에서 잠시 11만 2500달러까지 회복했으나 이후 하락하여 11만 500달러에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이더리움(ETH) 역시 심리적 저항선인 4,000달러를 일시적으로 하회했으나, 현재는 4,120달러 수준에서 거래되고 있다.

전반적으로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4조 달러 아래로 떨어진 상태지만, 금리 인하 및 유동성 완화가 본격화될 경우 연말 기준으로 반등 흐름이 강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연준의 통화 정책 변화가 디지털 자산에게 새로운 상승 국면을 제공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