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금리 인하, 암호화폐 시장에 미치는 영향과 향후 전망

[email protected]



미국 연방준비제도(Federal Reserve,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이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에이엠매니지먼트(AM Management)는 최근 발표한 주간 보고서에서 이번 금리 인하가 단기적인 이벤트가 아닌, 본격적인 정책 전환의 신호라는 의견을 밝혔다. 연준은 지난주 기준금리를 25bp 인하하여 4.25%로 조정하였으며, 이는 2023년 긴축 사이클 이후 처음으로 정책 방향을 전환하는 계기가 되었다.

연준의 금리 인하 결정 후, 비트코인(BTC)은 이렇다 할 반응을 보이지 못하고 기술적 저항선 돌파에 실패하며 조정세에 진입하였다. 하지만 시장은 완화적인 통화정책에 기대를 걸고 있으며, 여전히 많은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상황임을 강조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FOMC 점도표에서는 연내 추가 금리 인하 가능성이 열려 있으며, 특히 10월에는 375~400bp 인하 확률이 93.0%, 12월에는 79.6%로 높게 예상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암호화폐 시장도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비트코인은 최근 11만5232달러로 소폭 하락하였으며, 시가총액은 2.29조 달러로 글로벌 6위를 유지하고 있다. 반면, 이더리움(ETH)은 도미넌스 감소로 상대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으며, 솔라나(SOL)와 같은 일부 알트코인들이 상대적으로 강한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모습은 시장의 자산 배분과 운용 전략에서 선택의 폭이 다양해짐을 나타낸다.

시장 포지션에서는 레버리지 펀드의 숏 포지션이 누적되고 있는 가운데, 에셋 매니저들은 순롱 포지션을 확대하며 상승 시 노출을 증가시키고, 하락 시 방어 전략을 병행하는 모습이다. CME 비트코인 선물의 미결제약정은 7.1% 증가한 28,844건으로 추산되면서 숏 커버링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ETF 시장에서는 운용사별로 명확한 온도차가 나타난다.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피델리티(Fidelity)의 FBTC와 그레이스케일(Grayscale)의 GBTC에서는 대규모 순유출이 발생한 반면, 블랙록(BlackRock)의 IBIT는 1억4900만 달러 규모의 순유입을 기록하였다. 이는 투자자들이 각기 다른 운용 전략과 종목에 따라 자금을 선택적으로 배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AM Management는 현재 시장의 주요 변수를 PCE 디플레이터, 고용 지표 및 비트코인의 일봉 이동평균선으로 짚었다. 기술적 분석에서는 저항선 돌파 실패로 단기적인 데드캣 반등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으며, 비트코인 도미넌스 상승과 테더(USDT)의 안정성이 단기 회복의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연준의 금리 정책 변화는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앞으로 발표될 거시경제 지표와 연준 위원들의 발언이 암호화폐 시장의 방향성을 결정짓는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며, 기관 투자자 중심의 ETF 수급 흐름과 금리 환경의 변화가 중장기 상승 추세를 지지할 여지가 있음을 감안하면, 불확실성 속에서도 낙관적인 시선은 여전히 유지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