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주 연방준비제도(연준)가 기준금리를 예상 외로 인하할 경우, 암호화폐 시장이 급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문가들의 전망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및 XRP와 같은 주요 암호화폐들이 강력한 반등 모멘텀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으며, 이는 미국 주식과 부동산 시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암호화폐 분석가이자 미디어 진행자인 폴 배런(Paul Barron)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 X(구 트위터)를 통해 연준이 7월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하할 경우, 암호화폐 시장 전반에 걸쳐 강력한 상승세가 나타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시장에서는 7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약 24%로 낮게 보고 있으며, 9월 인하 가능성은 81%에 달한다. 이와 같은 낮은 기대 속에서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경우 ‘서프라이즈 효과’로 인해 시장 전체가 급등할 수 있다는 평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11만 6,000달러에서 11만 9,210달러 사이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이더리움은 3,600달러에서 3,871달러 수준에 머물러 있다. 투자자들은 연준의 결정에 주목하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취하고 있다. 배런은 금리 인하가 현실화되면 고금리 부담이 완화되어 기술주와 성장주, 부동산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띨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주택담보대출 금리가 현재 6.8%에 달하는데, 금리가 인하된다면 주택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달러 약세는 미국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존 E. 디튼(John E. Deaton) 변호사 또한 이 같은 전망에 동의하며, 파월 연준 의장이 금리를 내릴 경우 자산 가격이 전방위적으로 상승할 것이며, 특히 암호화폐 시장이 강력한 상승세를 보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러한 금리 인하가 트럼프 전 대통령과 그의 경제팀이 시장 신뢰를 회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모두가 낙관적인 시각만 있는 것은 아니다. 예측시장 플랫폼인 폴리마켓에서는 투자자들이 7월 29~30일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유지될 확률을 96.3%로 예상하고 있으며, 0.25% 인하 가능성은 3% 미만으로 매우 낮은 상황이다. 이는 연준이 그동안 인플레이션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 속에서 신중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는 것을 반영한다.
또한 배런은 금리 인하가 오히려 시장의 불안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만약 금리 인하가 성장을 촉진하는 것이 아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된 ‘공포 기반의 결정’으로 인식되면, 소비 심리의 위축과 함께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질 수 있다. 연준이 현재 고용률이 4% 미만인 상황에서도 임금 인플레이션에 대응하지 못한다면 ‘임금-물가 악순환’에 빠질 위험도 제기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시장은 ‘성장의 재점화’를 기대하고 있다. 만약 이번 주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면서 이를 경제 회복 신호로 확고히 자리매김할 경우, 암호화폐를 포함한 위험 자산 전반의 재반등이 현실화될 수 있다. 반면 그렇지 않을 경우, 시장 전반에 혼란이 생길 가능성도 크다. FOMC의 한 단어가 초대형 상승 랠리의 발단이 될지, 아니면 실망 매물의 촉매제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