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최근 금리를 동결했지만 내부에서는 심각한 균열이 나타나고 있다.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는 의견이 공식 회의에서 처음으로 제기되면서,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9일부터 이틀 간 열린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연준 이사회 소속의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와 미셸 보먼 부의장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야 한다는 주장을 했다. 이들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임명한 인물로, 금리 인하를 지지해 온 그의 최근 발언과 일맥상통하는 의견을 표명한 것으로 해석된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소비자 물가를 자극하고 있다는 우려와, 미국 경제가 스태그플레이션에 빠질 수 있다는 경고가 연준 내부에서 나오면서 시장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물가 상승률이 다시 2.7%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면서, 통화정책의 향후 방향에 대한 논의가 심화되고 있다. 그러나 대다수 위원들은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고 있어, 단기간 내 금리 인하가 이루어질 가능성은 낮아 보인다. 특히 고용지표가 여전히 탄탄하며, 관세 정책의 물가 영향을 정확히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이 이들의 신중론에 기여하고 있다.
이런 연준의 금리 동결이 암호화폐 시장에 미친 영향도 주목할 만하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유지됨에 따라 비트코인과 같은 주요 암호화폐의 가격에는 뚜렷한 반등세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는 투자자들이 연준의 다음 조치가 보다 분명해질 때까지 관망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일반적으로 암호화폐 시장은 금리 인하 가능성이 클 때 강세를 보이지만, 현재 연준 내 이견이 존재하고 다수의 위원들이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어, 금리 인하에 따른 암호화폐 상승 모멘텀은 제한적이다.
월가의 전문가들 역시 이번 두 위원의 금리 인하 주장만으로 시장 전체의 흐름이 크게 바뀔 것이라는 예측은 내리지 않고 있다. 다가오는 9월 FOMC 회의에서도 금리 동결 전망이 여전히 우세하기 때문에, 암호화폐 가격의 흐름 또한 큰 변동 없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투자자들은 향후 연준의 정책 결정에 귀추를 주목하고 있으며, 더욱 명확한 신호가 나타나기를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