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영국 내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은행을 통한 자금 이체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되었다. 영국 IG그룹이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40%가 자신이 거래하는 은행이 암호화폐 플랫폼으로 송금을 차단하거나 지연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 조치로 인해 29%는 공식적으로 은행에 항의를 했으며, 35%는 거래 은행을 아예 변경했다고 전했다.
전체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질문에서도 의견이 엇갈렸다. 42%는 은행이 암호화폐 거래에 개입하는 것에 반대한다고 응답한 반면, 33%는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클 힐리 IG 영국 지사장은 이 상황에 대해 “단순히 어떤 은행을 이용하느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암호화폐 접근에서 배제되고 있다”며 이는 소비자 이익과 시장 경쟁을 저해하는 부당한 조치라고 비판했다.
현재 영국에서 암호화폐 거래는 합법이지만, 자금을 실제로 유입하는 데는 큰 장벽이 존재한다. 암호화폐 기업들은 영국 금융감독청(FCA)으로부터 가상자산서비스사업자(VASP)로 등록되어야만 합법적으로 운영이 가능하며, FCA 인가를 받은 기업만이 영국 파운드화 입출금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규제가 주를 이루는 가운데, 일부 은행은 더욱 강경한 입장을 취하고 있다. 체이스 UK와 내트웨스트은행은 사기 예방을 명분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로의 송금을 제한하거나 아예 차단한 바 있다.
또한, FCA는 일반 투자자들이 신용카드 등 차입금을 통해 암호화폐를 구매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어 일상적인 투자자들은 더욱 제한된 자금 통로에 갇혀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제약은 영국의 글로벌 디지털 자산 산업 경쟁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높다. 조지 오스본 전 재무장관은 최근 기고를 통해 “영국은 글로벌 암호화폐 경쟁에서 뒤처지고 있으며, 이는 국가의 금융 서비스 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영국은 이제 초기 채택국이 아닌, 뒤처진 국가로 전락했다”면서 암호화폐에 대한 대응이 점점 더 불안해지고 있음을 강조했다.
이러한 상황은 영국의 암호화폐 투자자와 기업들이 직면한 도전 과제를 명확히 드러내고 있으며, 향후 정책 변화와 금융기관의 입장 변화가 절실히 요구되는 시점이다. 다양한 의견이 대립하는 한편, 소비자와 투자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보다 공정한 시장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책의 재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