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준녕 디스프레드 대표는 최근 ‘DATCON 2025’ 행사에서 크립토 벤처캐피탈(VC) 자금의 흐름이 변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올해 크립토 VC 자금 중 약 250억 달러가 크립토 스타트업에 투자되는 반면, 비축 기업들에 대한 투자는 470억 달러로 더욱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크립토 VC들이 전통 금융 시스템의 자산과 연계하여 비축 기업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비축 기업들이 가상자산 업계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점은 중요한 변화로 평가받는다. 그는 최근 가상자산 시장에서 ‘비축 전략’이 주목받고 있으며, 비트코인을 넘어서 이더리움, 솔라나와 같은 다양한 알트코인을 모으는 비축 기업들이 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알트코인은 비트코인과는 달리 온체인에서 수익을 창출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비축 기업들이 더욱 안정적이고 다각적인 운영 전략을 펼칠 수 있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예 대표는 비축 기업에 대한 투자가 실제로는 레버리지 효과를 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직접 코인을 보유하는 것과 비교했을 때, 비축 기업은 특정 자산의 레버리지 포지션을 취하게 되며, 이는 강세장에서는 유리하지만 약세장에서는 불리할 수 있다는 리스크를 내포하고 있다.
그는 비축 기업들이 생존하고 성장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전략을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하며, 시장가치를 순자산가치(NAV)로 나눈 비율인 ‘mNAV’가 최근 하락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다. mNAV가 1배 이하로 떨어질 경우 일부 비축 기업이 무너질 위험이 있으며, 이는 대규모 인수합병(M&A)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또한, mNAV가 하락함에 따라 주가를 방어하기 위해 자사주 매입이 필수적이나, 현금 유동성이 부족하면 보유 자산을 매도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다고 예 대표는 경고했다. 따라서 리퀴드 스테이킹과 같은 다양한 자산 운용 전략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결론적으로, 예준녕 대표는 크립토 VC 자금이 비축 기업으로의 유입이 증가하는 현재 시장 상황을 분석하며, 이러한 변화가 향후 가상자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