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업 오픈에셋 대표는 최근 매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이미 존재하는 달러스테이블코인에 대응하기 위해, 원화 스테이블코인의 발행이 필수적이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자산시장의 토큰화는 불가피한 미래”라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통화주권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고 덧붙였다.
오픈에셋은 카카오 그라운드X의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부서에서 시작된 회사로, 지난 몇 년간 한국투자증권과 함께 토큰증권(STO) 사업을 진행한 후, 최근에는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올해 초 전자금융업 자격을 취득했으며, 가상자산사업자(VASP) 인증도 준비 중에 있다.
김 대표는 “미국의 기관투자자들이 이미 탈중앙화 금융(DeFi)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다”고 설명하며,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한국 기관투자자들의 블록체인 채택에 필수적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오픈에셋은 이미 은행들과 협력하여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개념증명(PoC)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두 가지 중요한 기법을 제시했다.
첫 번째로, 은행과 발행사 간의 이중서명 구조를 도입하여 스테이블코인의 안정적 발행을 보장하려고 하고 있다. 김 대표는 “원화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이 발행될 때, 담보금 계좌에 현금이 입금된 것을 은행이 확인하고 블록체인으로 서명한다면, 스테이블코인의 발행량을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선불전자지급수단 발행업자가 하루 단위로 예치금을 보고하듯, 비슷한 규제를 스테이블코인에 적용하는 것도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오픈에셋은 이미 지역 은행과 인터넷은행에서 이중서명 구조를 활용한 PoC를 완수한 경험이 있다. 두 번째 기법으로는 발행사와 유통사의 분리를 제안하고 있다. 이는 이해 상충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코인 거래소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유통까지 관리할 경우, 시장 유동성을 임의로 조작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김 대표는 “페이팔의 PYUSD 경우 발행사와 유통사가 동일하게 보였지만, 실제로는 발행사가 팍소스인 구조”라며, “오픈에셋도 발행사로서의 역할에 집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최근 한국은행에서 논의되고 있는 CBDC에 대한 관점도 밝혔다. 그는 “CBDC는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폐쇄적인 ‘프라이빗체인’을 사용할 수밖에 없으며, 이렇게 되면 범용성과 유연성이 떨어진다”면서, “CBDC는 폐쇄적으로 존재하고 민간 부문에서 이를 준비자산으로 활용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라고 주장했다.
오픈에셋의 김경업 대표는 한국 금융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원화스테이블코인의 실현 필요성을 강하게 피력하며, 디지털 자산 시대의 통화주권 수호를 위한 노력을 계속할 것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