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픈AI, 인간의 추론을 모방한 ‘오픈 웨이트’ 모델 발표

[email protected]



오픈AI가 두 개의 인공지능(AI) 모델을 공개하겠다고 발표했다. 이번 모델은 ‘GPT-oss-120b’와 ‘GPT-oss-20b’로, 인간의 추론 과정을 모방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오픈AI는 두 모델을 AI 소프트웨어 호스팅 플랫폼인 허깅페이스에 5일(현지시간) 공개할 예정이다.

이 모델들은 메타의 라마(Llama)와 유사한 ‘오픈 웨이트(open-weight)’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완전한 오픈 소스는 아니지만, AI가 학습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수치를 공개하여 개발자들이 맞춤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오픈AI는 이를 통해 개인, 기업, 그리고 정부 기관이 각각의 필요에 맞는 AI 시스템을 손쉽게 조정하고 실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번 오픈 모델 발표는 2019년 발표된 GPT-2 이후 처음으로, GPT-2는 초창기 챗GPT의 기반이 되는 소프트웨어였다. 대부분의 오픈AI 모델은 폐쇄형 시스템으로 운영되어 사용자가 수정을 할 수 없으며, 기술적 정보가 제한적으로 공개되어왔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경쟁 업체들과 마찬가지로 학습 데이터 보호와 고성능 모델의 유료화를 통한 개발 비용 회수를 위한 전략으로 자리 잡아왔다.

이번에 공개된 두 모델은 비교적 소형이면서도 효율적인 성능을 자랑한다. ‘GPT-oss-120b’는 80기가바이트(GB) GPU 한 대로 굴릴 수 있고, ‘GPT-oss-20b’는 16GB 메모리가 장착된 일반 노트북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들이 보다 쉽게 AI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오픈AI의 이 같은 공개 결정은 최근 중국 AI 스타트업 딥시크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딥시크는 올해 초 AI 모델 ‘R1’ 등 공개형 AI 모델을 출시하며 글로벌 IT 업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딥시크의 성공적인 공개형 모델에 자극받은 샘 올트먼 오픈AI CEO는 오픈AI 내부에서 오픈 웨이트 공개를 논의하였으며, 오픈소스 전략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번 오픈 웨이트 모델의 출시는 AI 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줄 것으로 기대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인공지능 활용의 가능성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오픈AI가 만들어낸 이 새로운 모델들은 사용자 맞춤형 AI 서비스의 발판이 될 수 있으며, 기업들이 비즈니스 운영에 AI를 통합할 수 있는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