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누리상품권, 사용하지 않는 잔액 급증…제도 개선 목소리 커져

[email protected]





전통시장을 지원하기 위한 목적으로 2009년에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이 현재 기로에 서 있다. 매년 상품권의 발행 규모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사용되지 않고 쌓인 상품권 잔액이 1조원에 육박하는 상황이다. 최근 여당인 국민의힘과 유통 업계에서는 온누리상품권의 사용처 확대와 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2일 국회예산정책처가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의 누적 미회수액은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해 말에는 1조원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다. 미회수액은 판매된 상품권이 실제로 사용되지 않고 은행 창구로 돌아오지 않은 잔액을 의미한다.

온누리상품권의 미회수액은 5년 전인 2019년에는 2322억원에 불과했지만, 2020년에는 8376억원으로 증가했으며, 2023년까지는 일시적으로 6037억원으로 줄어들었으나 지난해에는 다시 9436억원으로 급증했다. 이처럼 미회수액이 급증한 주된 이유로는 가맹점 수의 부족이 지목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관 의원실에 따르면, 온누리상품권의 신규 가맹점 수는 2020년에는 2만5000개를 넘었으나, 지난해에는 8월까지 9129개에 그쳤다. 이는 소비자들이 상품권을 사용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어, 결과적으로 미회수액의 증가를 초래하고 있다.

정부는 사용의 편리함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기보다는 상품권의 발행량을 늘리는 방향으로만 나아가고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온누리상품권의 발행은 2020년 2조5000억원에서 올해에는 5조5000억원으로 5년 동안 2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지만, 실제 사용 가능성과는 괴리가 크다는 점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온누리상품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용처의 다변화와 함께 정책적인 개선이 필수적이다. 지역화폐와 같은 유사 프로그램들이 겪는 논란 속에서 온누리상품권이 유효한 경제적 도구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발행의 증대뿐만 아니라, 소비자들이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점에 접어들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