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체인 금융의 시대가 열린다…스테이블코인과 RWA로 준비하는 금융 대전환

[email protected]



전 세계의 블록체인 리더들이 모여 ‘온체인 금융의 미래’를 주제로 한 ‘온체인 심포지엄 2025’가 10일 서울 강남의 조선 팰리스 호텔에서 개최되었다. 이 자리에서 웹3의 중요한 의제로 떠오르고 있는 온체인 금융의 변화를 B2B 관점에서 조명하기 위해 다양한 기업과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스테이블코인, 실물자산 토큰화(RWA), 커스터디와 온체인 결제 인프라 등 프로그래밍 가능한 온체인 금융 시스템이 중심이 되어 금융 시스템의 질서와 가치 재편 흐름을 탐구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와 함께 국경 간 결제, 유동성 관리 등 다수의 현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참여하는 주요 기업으로는 비자, 리플, 테더, 크립토닷컴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전통 결제망과 온체인 결제 시스템의 통합 사례 및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 국경 간 결제 사례를 공유할 예정이다. 특히 블록체인 상호운용성 및 거래 인프라에 관한 실질적인 경험도 교환될 전망이다. 이날 행사 사회자는 토큰포스트의 전략자문관인 티모시 신이 맡았다.

행사 첫날 개회사에서 김지호 토큰포스트 CEO는 “우리는 블록체인이 단순한 기술을 넘어서 금융 질서의 중심으로 진입하는 전환점에 서 있다”며, 스테이블코인과 RWA가 금융권이 당면한 필수 과제임을 강조했다. 그는 “금융업계가 느리게 움직인다면 시장의 주도권을 잃게 될 것”이라 경고하며, “선제적으로 행동하는 자가 새로운 시장 질서를 만들어낼 것”이라고 덧붙였다.

패트릭 윤 크립토닷컴 한국 총괄도 환영사를 통해 “오는 9월, 한국 블록체인의 달로 기억될 것”이라며, 한국이 제2의 암호화폐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해외 기업들이 한국 시장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한국 기업들은 외국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이번 행사는 ▲전략과 도입 ▲법률과 규제 ▲인프라와 기술이라는 세 개의 핵심 세션으로 구성되며, 각 세션은 패널토론 형식으로 진행되어 참여자 간의 경험과 정보도 활발히 교환될 예정이다. 특히 글로벌 발행·유통 및 송금과 같은 테마를 중심으로 실무적 사례도 공유된다.

또한, 행사에는 한국의 5대 블록체인 및 핀테크 산업 협회도 참여하여 보다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전략을 협의할 예정이다. 이들은 국내 정책의 최전선에서 글로벌 흐름과 현지 실정을 조율하며 한국이 글로벌 금융 혁신의 주도국으로 부상할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온체인 심포지엄은 이처럼 블록체인과 금융의 융합을 다방면으로 분석하며, 참석자들이 더 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이 글로벌 금융 혁신의 중요한 출발점이 될 방증으로, 향후 블록체인 기술과 핀테크 분야의 미래를 더욱 밝히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