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차증권이 온코닉테라퓨틱스에 대한 매수 의견을 발표하며, 목표 주가를 5만원으로 설정했다. 이는 현재 주가 대비 약 40%의 상승 여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 목표가는 주력 제품인 항암 신약의 가치를 제외하고 국내 신약 37호 ‘자큐보’의 실적만으로 산정된 것이며, 이로 인해 추가 상승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판단되고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최근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인 ‘자큐보’의 성공적인 임상 실적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매출이 형성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 제품은 P-CAB(칼륨 경쟁적 위산분비 차단제) 계열로, 기존 PPI(프로톤펌프억제제) 약물의 단점인 공복 투여 요구, 느린 작용 발현, 야간 위산 역류 문제를 개선하여 환자들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자큐보는 2024년 10월부터 국내에서 판매를 시작할 예정이며, 출시 초기 6개월 동안 100억원의 처방액을 달성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 제품의 국내 공동 판매는 동아ST와 제일약품이 맡아, 판관비 부담 없이 안정적인 이익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국제 시장 진출 또한 원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중국의 주요 제약사인 Livzon Pharmaceutical Group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임상 3상을 완료하고, 2025년 8월 품목 허가를 신청할 계획이다. 중국 시장에서의 출시는 2027년으로 예상되며, Livzon의 기존 PPI 매출 중 약 12%가 자큐보로 전환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현대차증권은 이를 바탕으로 2025년 온코닉테라퓨틱스의 매출을 470억원, 영업이익을 140억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온코닉테라퓨틱스는 자큐보를 통해 확보한 재원을 바탕으로 항암제 개발에도 집중할 예정이다. 리드 파이프라인인 ‘네수파립’은 PARP와 Tankyrase1/2를 동시에 억제하는 이중 작용 기전의 합성 치사 항암제로, 국내 임상 1상에서 28%의 객관적 반응률과 65%의 질병 조절률을 기록하며 높은 효능이 입증되었다. 특히 말기 난소암 환자 5명 중 4명이 부분 관해를 보이는 등 기대 이상의 결과가 나타났다.
현재 네수파립은 미국 내 췌장암 및 위/위식도접합부암을 대상으로 임상 1b/2상이 진행 중이며, FDA로부터 희귀의약품 지정을 받은 상태이다. 이 약물은 기존 PARP 억제제가 많은 췌장암 시장과 아직 특정 의약품이 없는 위암 시장에 모두 진입할 계획이다. 현대차증권은 네수파립의 임상 데이터가 2026년에 공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 시점에서 해당 파이프라인의 가치가 더욱 부각될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