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총수출 증가율이 8.3%에 달하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증가율은 1.6%에 불과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10월과 11월 두 달 연속으로 전체 수출이 감소세를 보이며, 반도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진 한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현재 반도체 산업은 AI 반도체 시장의 급성장 덕분에 사상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으나, 최근 범용 칩 가격의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 내년에는 반도체 수출이 위축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며, 이로 인해 전반적인 수출 실적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매일경제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한국무역협회의 자료를 기반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올해 11월까지 총수출은 8.3% 증가했지만, 반도체를 제외하면 1.6%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러한 수치는 반도체 업종이 수출 통계에서 얼마나 큰 착시 효과를 주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10월과 11월의 전체 수출이 각각 4.6%, 1.4% 증가한 반면,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은 각각 2.2%, 4.6% 감소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반도체를 제외한 월간 수출이 두 달 연속으로 감소한 것이며, 3월 이후 8개월 만의 일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수출 물량이 크게 줄어든 것에 대해 일시적인 요인보다는 구조적 요인이 크다고 진단하며, 수출 불확실성과 성장 전망 조정이 클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도 수출 증가세가 점차 조정되고 있다고 발표하면서 글로벌 통상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수출 불안의 주된 원인은 내년 반도체 업황에 대한 우려와 관련이 있다. 최근 시장조사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PC용 범용 제품의 평균 고정 거래가격이 급락하며 D램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 이러한 가격 하락은 스마트폰과 PC와 같은 전방 수요의 불확실성을 가중시키며 반도체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반도체 수출이 사상 최대를 기록한 올해, 내년에는 기저효과로 인해 수출 증가율이 둔화될 조짐이 보인다. 산업연구원은 올해 반도체 수출이 42% 증가했지만, 내년에는 8.5%로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한, 반도체 외에도 다른 주요 업종 역시 수출이 부진한 상황이다. 국내 15대 주력 수출 품목 중 일반기계는 10개월 연속으로 감소세를 보였고, 자동차 수출은 지난달에 13.6% 감소하였다. 전기차 부문과 이차전지 산업 또한 작년 대비 수출 실적이 악화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경제의 전반적인 수출 감소세를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내년에도 수출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하면서도, 올해의 큰 폭 증가 대비 증가율은 다소 둔화될 것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최종적으로, 한국의 경제가 반도체에 대한 높은 의존도를 보이는 한편, 다른 산업의 수출이 감소하고 있어 심각한 경제적 과제가 남아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