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미국의 인공지능(AI) 주식 버블 논란이 한국 코스피 시장에 미친 영향으로, 이번 주 외국인 투자자들이 기록적인 규모로 순매도를 단행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3일부터 7일 사이 외국인의 순매도액은 무려 7조2640억원에 달하며, 이는 주간 기준으로 역대 최고치이다. 종전 기록은 2021년 8월 둘째 주에 해당하며, 당시의 순매도액은 7조454억원이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주식 시장에서 대량 매도를 선택한 주요 이유로, 코스피 지수의 급격한 상승이 가져온 고점 부담과 함께 미국 기술주에서의 심리적 위축을 지적하고 있다. 이들 외국인은 3일부터 7일까지 총 5일 동안 연속적으로 순매도 행태를 보였고, 하루 순매도액은 4일과 5일에는 각각 2조원 이상으로 급증했다. 특히 4일의 순매도액인 2조2280억원은 2021년 8월 13일 이후 4년 3개월 만의 최대치로 기록되었다.
당분간 외국인의 매도세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전문가는 미국 정부의 셧다운과 같은 경제적 불확실성이 증대하면서 투자 심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관측하고 있다. 원/달러 환율 상승 또한 외국인의 자금 유입에 부담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번 주 외국인의 매도는 주로 대형 반도체주에 집중되었으며, SK하이닉스가 3조7150억원어치 팔렸고, 삼성전자는 1조5030억원어치를 매도했다. 전체 순매도액의 약 72%가 이 두 종목에 쏠렸다는 점이 눈에 띈다. 반면, LG씨엔에스와 SK스퀘어는 각각 1940억원, 1790억원을 순매수하며 상대적으로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다.
경제 전문가들은 향후 원/달러 환율과 미국의 소비자 물가지수(CPI) 발표, 엔비디아의 실적 등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이러한 외부 요인들이 향후 코스피 시장의 변동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