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투자자, 9월 들어 1조원 이상 순매수…박스피에서 벗어날까?

[email protected]



9월 초부터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에서 활발한 순매수세를 보이며, 이로 인해 ‘박스피’ 장세에서 탈출할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한국거래소의 자료에 따르면, 1일부터 8일까지 외국인은 총 1조118억원을 순매수했으며, 이는 지난달 순매도한 1조4889억원의 대조적인 흐름이다. 이러한 외국인의 자금 유입은 환율 안정에 힘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부국증권의 이원 연구원은 이 같은 외국인 자금 유입이 국내 주식시장으로 향하는 긍정적인 조짐임을 강조하며, 환율이 안정될 경우 소비 관련 업종, 특히 관광, 유통, 교육, 콘텐츠 분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외국인은 특히 SK하이닉스를 비롯하여 반도체 분야에 대한 투자를 크게 확대했으며, 해당 종목에만 5625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삼성전자는 주요 성장세의 주역임에도 불구하고 152억원 순매수에 그쳤다.

특히 외국인들은 특정 테마 전체를 매입하기보다는 종목별로 선택적으로 대응하고 있으며, 이는 그들이 특정 종목의 주가 상승에 대한 경계심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예를 들어, 방산 분야에서도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현대로템은 비교적 많은 금액이 순매수되었으나, 한화엔진과 LIG넥스원은 순매도됐다. 이는 새 정부의 정책 변화와 지정학적 위기에 영향을 받아 주가가 급등한 종목에 대해 외국인들이 경계감을 느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코스피 지수가 박스권에 갇힌 상황에서 외국인들은 차익 실현을 위한 매도세도 보이고 있다. 올해 초 급격한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던 한화오션은 주요 주주의 투자금 회수 이후 외국인 순매도 1위로 부각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실적을 기록한 일부 종목은 투자의견 하향이 이어지고 있어 투자자들의 신중함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코스닥 시장에서는 최근 외국인의 투자 패턴이 바이오 분야로 편중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정부의 지원이 가시화됨에 따라, 올릭스, 파마리서치, 온코닉테라퓨틱스와 같은 제약 및 바이오 전시들이 외국인들의 선택을 받고 있다. 반대로 JYP Ent., 로보티즈, 에코프로비엠과 같은 최근에 주목받던 2차전지 및 엔터테인먼트 관련주들은 외국인 순매도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이러한 흐름은 외국인 투자자들이 국내 증시의 변화를 주시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향후 시장의 방향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환율 안정이 지속될 경우 외국인의 지속적인 유입이 기존 장세의 변화를 이끌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