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한국 부동산 10만채 이상 보유… 증가세 이어가

[email protected]



최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통계에 따르면, 외국인이 한국에서 보유한 주택 수가 약 10만4065가구에 달하며, 이는 작년 12월에 비해 0.15% 증가한 수치이다. 전체 주택 중 외국인이 소유한 비율은 0.53%로, 외국인 주택 소유자는 총 10만2477명에 이른다.

외국인이 소유한 주택의 대부분은 수도권에 위치해 있으며, 수도권에 있는 외국인 소유 주택은 7만5484가구로 전체의 72.5%를 차지하고 있다. 지방에서는 2만8581가구가 외국인 소유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경기도가 4만794가구로 가장 많은 외국인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후 서울이 2만4186가구, 인천이 1만504가구, 충남이 6455가구, 부산이 3160가구 순이다.

외국 주택 소유자의 국적을 살펴보면, 중국이 5만8896가구로 56.6%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인다. 그 뒤를 이어 미국이 2만2455가구(21.6%), 캐나다가 6433가구(6.2%), 대만이 3392가구(3.3%), 호주가 1959가구(1.9%)로 집계되었다. 주택 유형은 아파트 및 연립·다세대 등 공동주택이 9만5150가구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단독주택은 8915가구에 불과하다.

소유자는 대다수(93.4%)가 1채를 보유하고 있으며, 2채 소유자는 5.3%, 3채 이상 소유자는 1.3%에 해당한다. 이와 함께, 외국인이 보유한 국내 토지 면적은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2억6829만9000㎡로 작년과 비교해 0.1% 증가했다. 이는 한국의 전체 국토 면적의 0.27%를 차지하는 것으로, 외국인 보유 토지의 공시지가는 33조9976억원으로 나타났다.

주요 외국인 소유 토지의 국적별 비중을 보면, 미국인이 53.3%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중국(8.0%), 유럽(7.1%), 일본(6.1%) 순으로 이어진다. 지역적으로는 경기도(18.5%)가 가장 큰 비율을 보이며, 전라남도와 경상북도도 각각 14.7%, 13.5%로 외국인 소유 면적이 큰 편이다. 외국인이 보유한 토지 용도는 임야 및 농지 등 기타 용지가 67.7%로 가장 높고, 이어 공장용지(22.0%), 레저용지(4.4%), 주거용지(4.3%) 등이 뒤를 따른다.

토지 보유자의 주체별로는 외국 국적 교포가 55.4%, 외국법인이 33.6%, 순수 외국인이 10.7%, 정부 및 단체가 0.2%를 차지하고 있다. 국토부는 서울 전 지역과 경기도 23개 시군을 외국인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것을 감안할 때, 올해 말까지 외국인이 보유한 토지와 주택의 증가율이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