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 요인으로 인한 경제 충격은 시간이 지나면 완화될 것

[email protected]





정은보 한국거래소 이사장은 최근 인터뷰에서 정치적 불확실성 등 외부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한국 경제가 곧 회복할 것이라는 희망적인 메시지를 전했다. 그는 국내 증시가 현재 박스권에 갇혀 있는 배경을 설명하며, 근본적으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기업 경쟁력을 높이고 정부의 전략 산업 집중 지원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정 이사장은 “2024년은 대한민국 주주 친화적 경영의 원년이 될 것”이라며 “올해 상당한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기업들이 자사주 매입 및 소각과 같은 조치를 통해 투자자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자발적으로 변화하고 있다고 피력했다.

그는 한국 증시가 박스권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산업 전반에서의 경쟁력 강화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기업의 주가는 미래 현금 흐름의 현재 가치에 기반하며, 이는 개별 기업의 혁신과 성장 잠재력에 달려 있다는 점을 명확히 했다. 정 이사장은 “밸류업 프로그램이 단순히 주가 상승으로만 평가될 수 없고, 기업의 내재적 가치에 대한 정보 비대칭성을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한국 산업의 경쟁력이 저하되고 있다는 점도 우려하면서, 국가는 지식 기반 산업 육성에 더 집중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현재 한국의 산업 경쟁력을 미국과 일본의 특정 시점에 비유하며, 궁극적으로 개혁에 성공하느냐 여부가 향후 한국 경제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포스코가 중국 제철사의 경쟁에 밀려 공장을閉동한 사례를 들며, 한국 IT 산업의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가 일본 소니와 유사한 길을 걷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정 이사장은 또한 금융당국과 협력하여 상장 절차를 엄격히 하고, 부실기업 퇴출 과정도 더욱 신속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일반적으로 상장이 기업의 성장을 위한 대규모 자금 조달이라는 점을 재확인하며, 경영진이 상장을 단순한 투자 회수 수단으로 여겨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외국인 투자자와 기업들의 해외 이탈 현상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도, 이런 현상은 자연스럽다고 설명했다. 그는 한국 증시가 다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정부의 전략 산업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며, 내년에는 야간 시장 개설을 계획하고 있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는 “경제의 외부적 요인으로 인해 발생한 위기는 일시적일 것”이라며, 정치적 상황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기업의 근본적인 경쟁력까지 약화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낙관했다. 정부와 금융 당국은 증시 안정 자금을 투입하고, 해외 투자자를 유치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계속할 예정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