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해변에서 러시아 음악 재생에 따른 난투사태 발생

[email protected]



우크라이나의 인기 휴양지에서 러시아 음악이 재생되자 피서객들 사이에 격렬한 난투극이 벌어졌다. 이 사건은 전쟁이 발발한 지 3년이 넘은 지금, 우크라이나 내에서 러시아에 대한 반감이 극에 달하고 있는 상황을 여실히 드러낸다. 5일(현지시간) 영국의 ‘더선’ 등 외신에 따르면, 이날 우크라이나 흑해 연안의 오데사 골든비치에서 발생한 싸움의 배경은 해변에서 들려온 러시아 음악이었다. 이 음악을 들은 피서객들은 즉시 논란을 시작했으며, 대치가 격화되면서 주먹다짐으로 이어졌다. 사건이 발생한 해변은 혼란으로 가득 차 있었고, 외신은 이번 싸움에 최소 10명이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현재 우크라이나에서는 공공장소에서 러시아 음원을 재생하는 행위가 사실상 금기시되며, 이는 전쟁으로 인한 감정적 반응을 반영하고 있다. 사건 이후, 누구가 음악을 틀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 음악 소리가 문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NS에 올라온 영상에서는 수영복을 입은 여성 두 명이 서로 몸싸움을 벌이는 모습이 담겼고, 이를 말리려던 주변 인원들을 포함한 더 많은 사람들이 싸움에 휘말려 현장은 순식간에 통제 불능의 상태로 치달았다.

우크라이나에서는 전쟁 발발 이후 러시아와 관련된 문화 콘텐츠에 대한 강한 부정적 심리가 확산되어 왔다. 지난해에는 우크라이나 정부가 톨스토이, 푸시킨, 도스토옙스키와 같은 러시아 대문호들의 작품을 공공 도서관에서 제외하라는 지시를 내리며 논란을 일으킨 바 있다. 이러한 현상은 단순히 우크라이나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타라스 셰우첸코 동상을 파괴하는 등의 행위로 인해 국제적인 비난을 받기도 했다.

2023년에는 미국 국무부가 이와 관련된 문화유산 보호를 위해 700만 달러(약 97억 원)의 기금을 조성하였으며, 이는 전쟁의 여파로 훼손된 문화유산을 복구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의 문화적 갈등은 단순한 음악 재생 문제를 넘어서, 양국의 역사와 민족 정체성에도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전쟁의 상흔은 일상생활 속에서도 드러나고 있으며, 우크라이나 사람들 사이의 분열과 긴장의 고조를 나타내고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