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 가치, 주요 통화들과의 비교에서 최악…관세 전쟁의 최대 피해자로 부상

[email protected]





원화가 최근 주요국 통화에 비해 현저히 약세를 보이며, 경제적인 부담과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더 큰 하락 가능성에 놓여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당 원화 가격은 지난달 28일 장중 1463.9원으로 하락한 후 간신히 1,460.0원으로 반등하며 거래를 마쳤다. 이러한 원화의 약세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관세 정책에 따른 달러 강세와 깊은 연관이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1일 캐나다와 멕시코, 그리고 중국에 대한 관세 부과를 공식화하면서 환율을 급격히 상승시켰고, 그 여파로 원화는 지난 3일 1472.5원으로까지 밀려났다. 이후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가 잠시 유예되면서 환율은 1420원대로 하락했으나, 최근 무역 전쟁 우려가 고조되면서 다시 1460원대를 기록하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대통령이 오는 4일에 캐나다와 멕시코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재확인하며, 중국에도 추가 관세를 경고하자 원화는 하루 동안에만 평균 20.4원 상승하는 충격적인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원화 가치의 하락 폭은 다른 주요 통화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두드러진다. 지난달 28일 기준으로 원화 가치는 1월 말 1453.5원과 비교해다시 말해, 달러 대비 0.45% 하락한 것으로 분석됐다. 같은 기간 내 다른 통화들은 대부분 가치가 상승한 반면, 원화는 유일하게 약세를 지속한 상황이다. 이 시기 동안 유로는 0.01%, 일본 엔은 3.03%, 영국 파운드는 1.46%, 캐나다 달러는 0.50%가 상승하며 원화와 대조적인 모습을 보였다. 또한, 위안화, 대만 달러, 러시아 루블, 멕시코 페소 등도 달러 대비 가치가 높아졌다.

원화가 특히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우리나라의 수출 의존도가 높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불확실성이 우리 경제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상황이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인식을 초래하고, 따라서 원화의 지속적인 약세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앞으로도 달러당 원화값의 변동성이 4월까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결국, 현재 원화 가치는 국제 경제 상황의 변화와 미국의 무역 정책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태이다. 우리나라 경제의 기반을 다지는 동시에, 외부 요인에 영향을 덜 받는 구조로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에 이르렀다고 할 수 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