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달러 환율 상승에 베팅하는 개인 투자자들, 달러 약세에 집중

[email protected]



원/달러 환율이 최근 한 달간 37원이 넘게 상승하면서, 달러 선물에 투자하는 상장지수펀드(ETF)의 수익률은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개인 투자자들은 오히려 달러 약세에 베팅하는 상품을 대거 사들이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13일 기준 ‘KODEX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의 종가는 1만6685원으로, 한 달 전의 1만5750원 대비 5.94% 오르는 성과를 나타냈다. 이 기간 동안 ‘TIGER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와 ‘KIWOOM 미국달러선물레버리지’ ETF도 각각 5.90%와 5.65% 상승했다.

일반 달러 선물 ETF인 ‘KODEX 미국달러선물’과 ‘KIWOOM 미국달러선물’ 역시 각각 2.96%와 2.98% 상승하며 다소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갔다. 이러한 달러 강세 흐름은 일본 자민당 총재 다카이치 사나에가 금리 인상에 반대 입장을 견지하며 아베노믹스를 지지한 것과, 프랑스 정치 불확실성으로 인해 유로화가 약세를 보인 데 기인하고 있다. 또한 한미 관세 협상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하는 가운데, 개인 투자자들이 해외 주식을 대규모로 매수하는 등의 활동도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3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해 비판하며 다음 달 1일부터 중국에 10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로 인해 원/달러 환율은 1430원대까지 상승하며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 투자자들은 ‘KODEX 미국달러선물인버스2X’를 70억4000원어치 순매수하며 달러 약세에 베팅했다. 또 다른 인버스 상품인 ‘KODEX 미국달러선물인버스’와 ‘TIGER 미국달러선물인버스2X’ 각각 11억원과 6억7000만원어치 매수했다고 보고되었다. 이러한 상품들은 최근 한 달간 평균 5% 이상 하락해 개인 투자자들에게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대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만큼, 원/달러 환율의 상승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한투자증권의 이진경 연구원은 “프랑스 내 정치 불안정이 계속되고 있으며, 엔/달러 환율도 150엔 대를 유지할 것”이라며 “원/달러 환율은 1400원을 넘어서는 하방 경직적인 흐름을 예상한다”고 전했다.

한편, 미국 연방정부의 업무 정지, 즉 셧다운이 장기화된다면 달러 약세 압력이 커질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됐다. KB국민은행은 과거 10일 이상 셧다운이 지속된 경우 모두 달러화 지수가 하락세를 보였다고 설명하며, 이로 인해 소비심리와 공공서비스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이 경우에는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이 완화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Leave a Comment